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d라이브러리
"
공부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실제 해커라고 해서 모두 범죄자인 것은 아니다. 대부분 해커들은 순수하게 컴퓨터
공부
에만 몰두한다. 그들 역시 프로그래머, 전산관리자, 연구원 등으로 진출하면서 컴퓨터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사람들도 많다. 단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남보다 더욱 애착을 느끼는 것이 별다르게 보일 뿐이다 ... ...
1. 식이요법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경우도 돌연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의료진의 철저한 감시 아래 시행해야 한다.벼락치기
공부
가 실력 향상에 별 도움을 못주듯 벼락치기 다이어트는 별 효과도 없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식이요법의 열쇠는 바로 '평생' 꾸준히 비만 식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용어설명인슐린 (비)의존형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땀과 함께 빠져 나간 경우 알칼리 이온음료가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가만히 앉아서
공부
만 하는 수험생들이 이 음료를 마시면 필요한 부분(알칼리 금속이온)이 아주 조금만 흡수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몸밖으로 배출된다.탐구활동식품 속에 들어있는 알칼리 금속화합물은 왜 필요할까오랫동안 ...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있는 조용민교수는 그 의미를 좀더 쉬운 곳에서 찾아 줬다. "이제 서양에 가서 연구하고
공부
할 때가 지났다. 그동안 동양권 출신들이 유럽이나 미국에 가서 받은 서러움은 매우 컸다. 또 그곳에서 연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하다는 잘못된 편견마저 갖게 된다. 동양에 세계적인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많다"며 "청소년들의 나쁜 자세는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부
때문에 꼭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치료를 꺼리는 경우가 있어 문제는 더 심각하다는 것. 병까지 얻을 수도요통이나 경통은 중년 이상의 나이를 먹은 사람들에게는 '어쩔수 없이 생기는 당연한 병'으로 ... ...
3. 식빵에서 곰팡이가 피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재기 시작했다. 24일까지 우리는 관찰을 계속했고, 24일 오후 이제 관찰을 멈추고 시험
공부
를 열심히 하라는 선생님의 걱정어린 엄명(?)에 정든 곰팡이를 치워야 했다.식품회사 전화 인터뷰로 많은 것 배워마침내 5월 8일 시험이 끝나자 우리는 모여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런데 실험결과만으로는 ... ...
청소년기 효과 의심스런 뇌파조절기구 부작용 가능성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참고서가 아무리 좋아도, 그리고 선생님이 아무리 잘 가르쳐도 학생 모두가 원하는 대로
공부
를 잘할 수 없다는 평범한 이치 속에 이 기구들의 효과에 대한 해답이 있다고 본다.뇌파조절기구를 이용해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기술은 인간의 뇌에 대한 매우 제한적인 정보를 근거로 만들어진 대단히 ... ...
제자들과 함께 만든 우리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때였다. 막상 우리 위성을 개발한다고 생각하니 걱정이 앞섰다. 그동안 학생들이 얼마나
공부
했는지 궁금했고 우리별 1호의 설계결과를 직접 점검해야 하는 의무감도 무겁게 느껴졌다.영국에 도착해 담당교수로부터 "밤이면 실험실이 아예 한국 실험실로 바뀌어 버린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또 ... ...
3. 훈련 : 청소년기 명상과 학습 통해 스스로 두뇌 훈련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즉 두뇌가 개발되는 과정이나 그 성과물을 '교재'로 삼아
공부
함으로써 두뇌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다 보면 자신의 두뇌가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선하씨는 이를 '인간 인지에 대한 이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사람들의 사고 과정', 두뇌기능과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학년 때 배우는 내용이다. 그러나 중학교 물상을
공부
한 학생뿐 아니라 고등학교 물리를
공부
한 학생들 중에서도 물체가 계속 움직이려면 힘이 계속 가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이렇게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 주변에서 힘이 가해져야 물체가 계속 움직이는 것을 더 많이 볼 수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