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요즘 말로 절친이었거든. 그래서 작은 일 하나도 서로 상의했대.1900년 제2회 프랑스 파리
국제
수학자대회 때 특별강연을 요청받은 힐베르트는 민코프스키와 함께 어떤 강연을 하면 좋을지 고민했어.민코프스키는 “다가오는 새로운 세기에 수학자들이 어떤 문제에 공을 들여야 하는지 설명해 주면 ... ...
수학자들은 왜 모였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따라 대회 준비를 시작했지.여러 수학자의 노력 끝에 1897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제1회
국제
수학자대회가 열렸어. 16개국에서 208명의 수학자가 참여해 성공적으로 대회를 치렀지. 이 대회에선 함수의 역사에 대해 강연한 아돌프 후르비츠와 수학과 물리학이 서로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쥘 앙리 ... ...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알아봤어. 다음 호에선 21세기에 치러진
국제
수학자대회와 올해 치러질 대회, 2014년 서울
국제
수학자대회 유치과정과 준비과정에 대해 알려 줄게. 기대하렴 미타그레플러상 노벨과 이런저런 이야기로 얽혀 있는 미타그레플러. 그는 실제로 노벨상에서 수학이 제외된 것에 몹시 분개했어. 그래서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분자·생명과학 분야에서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연구 인력을 바탕으로 단기간에
국제
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소로 성장했다.이런 연구 능력을 바탕으로 정부 프로젝트와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생명 현상과 난치성 질병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해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물질을 ... ...
이 세상에 단 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44를 10으로 나눈 나머지는 4이므로 13번째 수는 6이 맞다.수학동아 같은 잡지는 8자리의
국제
표준연속간행물번호(ISSN)를 쓴다. 이때 마지막 자리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앞의 7자리 숫자에 각각 8부터 2까지의 수를 내림차순으로 곱한 다음 더한다. 이 값을 11로 나눠 나머지를 구한 다음, 다시 1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보낼 때도 페로몬을 발산하는 동시에 떨기 춤을 춘다는 연구 결과가 생물학 분야
국제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벌은 0.1초간 몸을 약 38번이나 떨어 동료들이 위험한 곳에 다가가지 못하게 알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샌디에이고대 생물학과 제임스 니 교수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식품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보고한 자료와 미국 워싱턴 DC에 자리한 ‘우드로 윌슨
국제
학술센터’가 진행한 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이 때문에 실제 시장에는 발표된 수치보다 훨씬 많은 나노푸드가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나노푸드가 식품점을 잠식해 들어가고 있는 ... ...
생물자원 전쟁, 최후의 승자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생물자원에 대한 조사가 5~10년 전후로 이뤄진다고 할 때, 나라마다 다르겠지만
국제
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최고의 명약이라 불리는 아스피린이 버드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천연신약’이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나 역시 이전에는 생물자원에 대한 ... ...
20분에 1종씩 생명이 사라지는 지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먹고사는 종은 얼마 못 가 개체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물론 인간도 예외일 수는 없다.
국제
자연보호연맹(IUCN) 관계자는 “생물 멸종이 가속화되면 결국 인간 사회도 붕괴될 수밖에 없다”며 “종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멸종 속도 빨라져 인간 사회 위협할 것”열대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원인으로 점차 진화한다는진화론과 닮아 있다. 지난해 11월 열린 ‘붓다와 다윈의 만남’
국제
학술대회에서 안성두 서울대 철학과 교수는 “불교는 물론 많은 과학자 역시 불교적 사유가 과학과 병존할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하면서 “불교의 핵심교리인 연기론 등은 과학정신이 요구하는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