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970년에 데본기 말의 대량절멸을 설명하기 위해서 시도했던 것이다. 데본기 말에 얕은
바다
에 살고 있던 무척추동물의 약 80%의 종이 절멸했다.1979년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알바레즈(Luis 및 Walter Alvarez) 교수 부자(父子)와 그의 동료들은 K/T경계 혹은 경계 아주 가까이에서 특별히 많은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푸른 지구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물리적 고정/
바다
속 압력을 이용탄산가스는 열역학적으로 아주 안정한 화합물중의 하나이므로 자연적인 광합성에 의한 방법 외에 이를 반응시키기 위하여 불안정한 화합물로 만드는데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러면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로 불려져 왔고 물고기는 이 종교의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 있다.하늘을 나는 천마 옆에
바다
의 물고기라니 약간 어울리지 않는 조합인 것 같다. 작고 희미한 별들이 넓은 장소에 흩어져 있어 밤 하늘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물고기자리를 알아보기에는 약간 시간이 걸릴 것이다이 별자리에 대해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때는 쉽게 형태를 구분하지 못한다. 숨었던 바위로 부터 노출되면 강한 흐름을 따라
바다
뱀처럼 헤엄쳐 멀리 이동해 가기도 한다.적의 공격을 받아 몸이 잘려지면 곧 재생되는 힘이 강하다. 이는 약한 입장에 있는 자가 자위수단으로 지니게 되는 모든 갯지렁이류 공통의 특징이라 하겠다.그러나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0㎞에 이르는 광막한 사막으로서 북쪽을 천산산맥, 남쪽을 곤륜산맥으로 차단함으로써
바다
와 고립된 곳이다. 대체로 해발고도 약 1천m 높이에 해당하는데,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져서 분지의 동쪽 끝은 약 7백60m 고도에 해당한다.사막에는 땅 속을 흐르는 물이 있지만 외래하천(外來河川)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상상의 나래를 편다. 풍요의 꿈, 새처럼 날아가는 꿈, 달나라에 계수나무를 심는 꿈,
바다
에 왕국을 건설하는 꿈, 생명의 신비를 탐구하는 꿈….이러한 꿈들은 한낱 허상으로 끝나지 않고 체계적인 인간사고의 집산이자 인류 최대의 무형재산인 과학의 힘으로 하나하나씩 실현해 가고 있다. 가위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룡에 속하지는 않지만 중생대의
바다
에서는 어룡(魚龍)과 수장룡(首長龍)이 번식해
바다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다. 이들은 수중생활에 알맞는 체제로 진화했으며 물고기와 같은 꼬리와 지느러미가 발달돼 있었다. 이 두 종류의 파충류들은 공룡과 같이 중생대 말기에 모두 전멸했다.공룡은 그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발견돼 큰 화제가 됐다. 퀘졸코트러스라는 이름의 이 괴물은 당시의 호수나
바다
에서 매우 먼 곳에서 발견됐으므로 아마도 죽은 공룡의 사체를 먹고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최근까지 모든 공룡들은 조그만 뇌를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대단히 어리석은 동물이었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영장이 있다.노지카를 방문한 후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인류는 원하든 그렇지 않든
바다
의 미래를 책임진다"는 의미심장한 교훈을 마음속에 간직하게 된다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더 많은 토륨(Th)을 집어 넣으면 역시 핵분열을 잘 일으키는 우라늄233이 생산된다.
바다
속에 무진장 들어 있는 우라늄과 토륨을 이용하면 인류가 앞으로 수백만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핵연료가 생기는 셈이다. 고속증식로와 '꿈의 원자로'라 불리는 핵융합로는 최첨단 기술이 요구되는 미래의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