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현재 대장균에 최적화돼 있는 언어”라며 “각종 박테리아와 인간의 소화관에서 주로
발견
되는 슈도모나스균, 맥주효모균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슴위로 말려 올라가거나 다리 쪽으로 말려 내려가기도 한다. 이 때문에 여성 시신이
발견
된 경우에 종종 성범죄의 피해자로 오인받기도 한다.시체부패섬과 버섯을 남기고시간이 지나면 피부에 균열이 생기면서 시신에 쌓여있던 가스와 부패 물질들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가 시신이 부패하는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강은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2015년에 발간한 보고서에서 “아동학대 조기
발견
과 초기대응을 위해서는 병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학대 피해아동은 매우 위중한 상태로 병원에 도착하거나, 보호자의 거짓말 혹은 치료거부로 병원 이송이 지연돼 초기 치료 대응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발견
돼 태양계 9번째 행성으로 분류돼 왔어요. 하지만 명왕성의 궤도가 타원형이라는 점과 천체의 크 ... 있답니다.브라운 박사는 “실제로 이 행성을 찾기 시작했으며, 5년 내에 플래닛 나인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로버트 브라운은 물에 뜬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새로운 사실을
발견
했다. 꽃가루가 흘러갈 방향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일정한 반경 내에서 비슷한 방향으로 갈지(之)자를 그리며 움직일 확률이 높았다. 꽃가루가 퍼지는 불규칙한 모양을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연구결과(2010년 2월)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학대 아동의 유전자에서 후성적 변이가
발견
됐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아동학대와 후성적 변이에 대한 연구는 ‘학대의 대물림’이라는 관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연구다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소각장에서 날아온 바람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에서 돌연변이 노린재목 곤충이 많이
발견
됐다. 그의 말에 따르면 곤충들은 그 지역의 환경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생물 지표였다.점점 무뎌지는 사람들에게“그로부터 어떤 변화가 일어났냐고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연구가 사회에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1977년 한 사건을 의뢰받았다. 파헤쳐진 무덤 속에서 턱시도 차림의 변사체가 앉은 채로
발견
됐다. 배스 교수는 시신의 부패 상태를 보고 그 시신이 죽은 지 1년이 채 안됐을 거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시신은 1864년 남북전쟁 당시 사망했던 윌리엄 샤이 대령으로 나중에 밝혀졌다. 배스 교수는 “내가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그 역할을 대신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마다가스카르의 후기 백악기 마에바라노층에서
발견
된 시모수쿠스다.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키가 작은 식물을 뜯어 ... ...
[과학뉴스] 머릿속에서 센서가 사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두뇌에 이 센서를 넣고 두뇌의 정보를 얻는 데 성공했어요. 또한 쥐의 두뇌에선 염증이
발견
되지 않아 이 센서가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다는 것도 밝혀졌지요. 존 로저스 교수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몸 속에서 더 많은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것”이라고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