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전자 가위’로 유전병 유전자 교정과학동아 l2017년 09호
- CRISPR) 유전자 가위’로 교정하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8월 3일자에 발표했다. 비후성 심근증은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선천적인 심장 질환으로, 500명 중에 한 명꼴로 발생한다. 연구진은 유전자 교정을 통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을 50%에서 27.6%까지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동물 474종의 몸무게와 달리기 속도를 분석해서 ‘네이처 생태와 진화’ 7월 17일자에 발표했어요. 연구에 따르면 육지와 물속에서 활동하는 동물은 몸무게가 약 100kg, 하늘을 나는 동물은 약 10kg 이하일 때 가장 빨랐어요. 티라노사우루스: 그럴 리가! 그건 멸종되지 않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페렐만이다. 2002년에 출판 전 논문을 수집하는 인터넷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증명을 발표했고, 국제수학연맹이 3년 동안 검증한 결과 옳은 것으로 판명이 났다.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가 최초로 풀리는 순간이었다. 그런데 사실 푸앵카레의 추측은 페렐만이 해결한 문제의 일부일 뿐이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자우림의 ‘17171771’ 숫자 암호와 사랑 고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밝히며 더 의미 있는 아름다운 곡이 됐지요. 자우림은 20주년 기념으로 올해 새 앨범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번엔 또 어떤 사랑스러운 곡을 만들지, 혹은 위로가 되는 곡을 만들지 기대가 됩니다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꼬리깃을 과시한다. 최근 뿔공룡의 뿔과 프릴이 짝짓기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어요. 런던 퀸 마리 대학교의 데이비드 혼 박사팀은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 화석 37개의 뿔과 프릴의 크기가 나이대 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프로토케라톱스의 뿔이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FAO)는 축산 부문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에 이른다고 발표했어요. 실제로 전세계 15억 마리의 소가 방귀나 트림으로 해마다 1억 톤이나 되는 양의 메탄가스를 배출한다고 해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가스 효과가 23배 이상 높은 물질이지요.공장식 축산업의 ... ...
- [과학뉴스] 추석 과일엔 ‘나노 코팅’을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나노입자를 스프레이로 뿌리는 코팅 기술을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과일을 코팅 용액에 담갔다 빼는 기존 방식으로는 과일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스프레이로 뿌리면 5초 안에 코팅할 수 있는데다 오염도 막을 수 있다. 이 기술로 코팅한 귤과 딸기는 ... ...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처음 나타난 꽃의 모습을 추정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에르베 소케 프랑스 파리쉬드대 생태학, 형태학및진화연구실 교수와 마리아 본 발타자르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식물학및생물다양성연구실 박사 공동연구팀은 현존하는 속씨식물의 63개 목과 372개 과를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일이다. 4. 인도 팀 인더스(Team Indus) 팀 인더스는 유일하게 발사 날짜를 확정해 발표했다. 올해 12월 28일이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자체 개발한 로켓(PSLV)에 탐사선과 탐사 로봇(위 사진)을 실어 보낼 예정이다. 목적지는 비의 바다(Mare Imbrium)로 불리는 평탄한 지역이다. 높이 2m, 무게 600kg인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DNA를 교정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은 밀리포르시그마에 부여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런 이유로 밀리포르시그마는 “유럽에서는 김진수 단장과 미탈리포프 교수의 연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셜코우 교수는 8월 4일 ‘사이언스’에 “예상치 못한 요소들이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