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면 잎맥처럼 생겼답니다.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나뭇잎은 기존 연구에 비해 40% 이상 효율이 높아요. 즉, 더 많은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거지요. 또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이롭고 값이 저렴하답니다.연구를 이끈 아이트호벤대학교 티모시 노엘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록을 공유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어린이과학동아 앱이 꼭 필요해요. 총 6중 중 3종 이상의 생물종 탐사를 수료하면 수료식에서 생명다양성재단의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답니다.Q 정기구독자만 신청할 수 있나요?정기구독자가 아니라도 지사탐 신청은 가능해요. 단, 어과동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돼요.만에 하나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남아있는 고기라 해도 70℃에서 30분, 75℃에서 5분 이상 끓이면 바이러스는 죽는답니다. 따라서 충분히 익힌 닭고기나 달걀은 먹어도 안전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Part 1. 닭은 억울하닭?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 ...
- [과학뉴스] 오바마 ‘사이언스’에 기후정책 글 기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통해 “온실가스가 지금과 같은 추세로 계속 배출되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2100년까지 4℃ 이상 올라갈것”이라며 “온실가스를 줄이고 청정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등 기존의 기후정책을 계속 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특히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 경제 성장과 상충되지 않는다고 ... ...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년 02호
- 1호의 항로에는 1~2개의 성간구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호의 항로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성간구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 두 탐사선의 항로에는 이온화된 마그네슘과 철, 탄소, 망간을 비롯해 산소, 수소, 질소 등의 원소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제1저자로 연구를 이끈 줄리아 재처리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서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범죄 피해자 지원 센터 담당자에게 알림이 가도록 하는 식이다.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심리치료 전문가가 빠르게 개입해 위험 증상을 보이는 피해자를 돌볼 수 있다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 암컷과 짝짓기하는 수컷은 종별, 무리별, 환경 별로 한 마리(일처일부제)에서 두 마리 이상(일처다부제)까지 다양하다. 일처일부제 무리는 모든 마모셋과 타모린 종에서 관찰되며, 일처다부제 무리는 일부 타마린과 마모셋, 그리고 가장 작은 원숭이인 피그미 마모셋에서만 관찰된다.신세계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게 틀면 물이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운동을 하며 뿜어져 나온다. 다상 난류 운동은 두 개 이상의 상이 동시에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운동을 말한다.“어떻게 어려운 분야들을 합쳐놓은 연구를 선택했냐”는 기자의 물음에 박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유체역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하지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산화탄소 양의 8%다. 하지만 시멘트 제조 기술은 현재 한계에 이르러 생산과정에서 더 이상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어렵다. 연구자들은 대신 콘크리트(시멘트에 자갈과 모래, 물을 섞어 만든다)의 내구성을 연구해 이미 만들어진 콘크리트 건물을 오래 써서 최대한 시멘트를 적게 만들도록 하거나,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때 나타나는 효과가 다르다는 이유도 있지만, 백신을 가장 적절한 타이밍에 일정 수 이상 인구가 맞아야 집단 내 전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기에 대응을 하지 못해 시기를 놓치거나 너무 적은 인원만 백신을 맞는다면 결국 독감이 유행하게 된다.이종 간 전염 정확히 예측하려면 역학 연구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