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이 때문에 대회 주최 측은 이번 대회부터 참가조건에 ‘나노자동차를 구성하는 원자는
100
개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을 추가했다. 연구팀은 이 조건에 맞추면서도 속도가 빠른 나노자동차를 구현하기 위해 나노자동차의 바퀴로 3차 부틸 작용기를 사용했다. 3차 부틸은 작용기의 크기가 커서 ... ...
거리두기 이달말까지 연장…헬스장·카페·학원 제한 일부 풀려
2021.01.16
또 수도권에서는 결혼식, 장례식, 기념식 행사도 지금처럼 50인 미만, 비수도권에서는
100
명 미만으로 참석 인원이 계속 제한된다. 유흥주점·단란주점·감성주점·콜라텍·헌팅포차 등 유흥시설과 홀덤펍도 이달 말까지 계속해서 영업이 금지된다. 정부는 다만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 조치가 ... ...
[주말N수학]수학과 AI로 한층 정밀해진 센서 기술, 자율주행 시대 앞당긴다
수학동아
l
2021.01.16
제공 박재일│알고리즘과 SW 전반을 설계하고 코드로 구현하는 일을 한다. 예를 들어
100
m 안에 있는 자동차나 사람의 위치를 파악한다고 해보자. 필요한 알고리즘을 큰 틀에서 설계하고, 세부 알고리즘을 정의한 다음 이를 코드로 구현한다. 코드로 만드는 데서 끝이 아니라 알고리즘이 최적으로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쉽게 손실되는 특성이 있다. 고영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G무선방식연구실장은 “
100
m 정도 거리에서 테라헤르츠 송수신 사례가 늘고 있지만,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그 성능 차가 크다”며 “아직은 테라헤르츠파의 공기 중 전파 감쇄 문제가 큰 걸림돌 중 하나”라고 말했다. 저궤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에너지 증폭시키는 마법의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1.01.16
나왔다. 에너지는 높지만 개수가 적어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만든 나노입자는
100
개를 넣으면 40개 이상이 나오는 수준이다. 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로 레이저 포인터 수준의 약한 빛을 쬐어 매우 작은 25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물질을 높은 해상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약한 빛을 ... ...
'고독한 사냥꾼' 전기뱀장어도 무리 지어 협력 사냥
연합뉴스
l
2021.01.15
이리리강의 어류 생태탐사를 하다 강과 연결된 작은 호수에서 1m 이상 되는
100
여마리의 성체 전기뱀장어가 모여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어 2014년 10월 같은 곳에서 72시간 동안 연속해 관찰하며 볼타 전기뱀장어의 협력 사냥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때 볼타 전기뱀장어는 하루의 대부분을 ... ...
수요예측 실패한 車메이커,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차질
연합뉴스
l
2021.01.15
연료분사 시스템을 비롯해 전·후방 충돌 방지 기능이나 터치스크린까지 자동차 1대에도
100
여 개의 반도체가 사용된다. 이 같은 반도체를 구할 수 없게 된 자동차 업체들에는 비상이 걸렸다. 도요타는 중국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FCA)는 캐나다 온타리오와 멕시코 ... ...
[특별기고] 코로나19 백신의 승인 이후 남은 과제와 질문들
2021.01.15
있다.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의 막대한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00
억~160억회 접종분의 고품질 백신의 생산이 필요하고 백신의 보호 효과가 2개월 이상(현재 2개월까지만 확인됨) 이상 지속된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또 전 세계 50억~80억명이 백신을 공평하게 맞도록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이름붙였다. 서 책임연구원은 “상향변환 나노물질을 키가 1m 밖에 안되는 아이
100
명이 성장을 키우는 마술상자로 비유할 수 있다”며 “기존 상향변환 나노입자는 2~3m 키가 큰 사람이 1명이 나오던 것이라면 지금은 40명이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활용해 빛으로 보기 ... ...
토종 코로나19 치료제 가시화…셀트리온 이어 줄줄이 대기(종합)
연합뉴스
l
2021.01.14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러시아 임상 2상을 마무리했다. 중증 코로나19 환자
100
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한 결과, 28일간 나파벨탄 투여군의 증상 개선율은 94.4%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표준 치료군의 증상개선율은 61.1%에 그쳤다. 종근당 관계자는 "외부 변수를 보정한 결과 나파벨탄의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