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있을 것이다.선입견 없이 직시하는 시각 필요전호(前號)의 얼굴그리기 테스트에서
개념
형으로 그리는 사람은 실제 사람의 눈이 나뭇잎 모양이 아닌 데도 - 눈의 모양은 동일인의 눈이라도 보는 각도에 따라 일정한 모양이 아니다(사진 2) - 나뭇잎처럼 생겼다고 알고 있는 고정관념에 의해 측면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확률치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주목할 점은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사건에는 시간이라는
개념
이 도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개의 사건과 사건의 횟수만을 따진다. 각각 사건 사이의 시간간격은 확률치를 계산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양자역학을 소개하는 책자에서 항상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전혀 연관성이 없는 '일레븐'으로 불린다. 이 같은 규칙은 동양의 계산 방식이 수의
개념
을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이 같은 인식의 차이는 특히 빼기에서 확연하게 나타난다. 17-9란 문제가 있을 때 동양권 어린이들은 먼저 10에서 9를 빼 나온 수 1을 7에 더함으로써 8이란 답을 얻지만 서구권 ... ...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신성하지 못해 모두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믿었다.이와 같은 절대적인 위 아래의
개념
은 구형인 지구에서 (그림 1)과 같이 우리와 정 반대편에 살고 있는 사람은 아래로 떨어질 것이므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믿지 못하게 하는 하나의 요소로 작용했다.그 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증명되자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광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될 것으로 예상된다.광디지털 계산방법은 디지털
개념
을 유지하면서 광자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광프로세서, 디지털 광컴퓨터를 만들어가게 된다. 최근에 와서 디지털 광컴퓨팅이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광전소자기술의 꾸준한 발전과, 반도체 ... ...
척추동물 수컷은 암컷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것은 최초에 진화한 자기복제가 가능한 생물(즉 암컷)의 진화 뒤에 진화해왔다는
개념
을 세워보자는 것이다.‘성은 만들어진다'는 생각에 따르면 암컷은 원래 중성(성의 구별이 없는 성)이었던 데 반해 수컷은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암컷 위에 조작이 더해진 '만들어진 성'이었다. 그러나 이 생각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특히 사회주의국가에는 이런 형의 그림이나 화가가 많다.〈예술형 그림의 특징〉
개념
형 그림과 사실형의 그림을 정확히 평균내어 중간으로 그리는 형이 있다. 이 형은 우리 주변의 미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 많다. 사실형도 그림 그리기에 좋은 소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실형의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올리고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것들 이외에 PCN,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Service)라는
개념
이 있다. 이것은 그야말로 '언제 어디서나' 통신의 결정판으로, 사용자는 조그마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등록해 언제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유럽에서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자체의 에너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설계를 간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새로운
개념
이 많이 도입되는 노형이므로 많은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원자로로는 미국의 에너지부가 지원하는 웨스팅하우스의 AP-600과 GE사의 SBWR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산업계와 연구계, 학계가 공동으로 201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미흡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이 이야기가 나오자 그의 목소리는 높아진다."기초과학은
개념
적 학문적 발전이라는 동기도 있을 뿐더러 현재는 쓸모가 없어도 장기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낳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당장 눈앞의 경제성만을 따지다 보면 50년 후에도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