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정도로 줄어든다.이처럼 낙타가 탈수됐을 때 일간변동이 큰 이유는 무엇일까. 체온조절
기능
을 상실했기 때문일까. 그렇지 않다. 체온을 증가시켜 환경온도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피부나 호흡으로부터 일어나는 수분손실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이처럼 낙타는 몸에 물이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거의 완성돼 가는 현시점에서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포스트 게놈시대의 유전체
기능
연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정부도 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을 비롯한 포스트게놈프로젝트에 연간 수백억원 이상을 지원하고 있다.반면 유전체의 크기가 작아 분자생물학의 초기인 1970년대에 각광을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긴급 개조, 금성탐사선 마리너 5호로 변신시켰다. 이전 탐사선과 큰 차이는 열방어
기능
을 보완했고 전파관측을 위한 카메라를 탑재하지 않았던 점이다. 카메라의 중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두꺼운 구름으로 찍을 것이 별반 없을 것 같은 금성탐사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무게와 전력은 사치에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리고 이제는 30억쌍의 DNA 염기서열을 통해 수만개 유전자와 수백만개 단백질의
기능
을 밝히는 과제를 안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가 유전자와 단백질을 규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바이오칩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칩은 각종 생물학적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분열조직이기 때문에 줄기세포가 많다. 주어진 기간 내에 새로운 조직을 만들고
기능
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활발한 세포분열이 필요하고, 이때 만들어진 줄기세포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이다.태반은 줄기세포뿐 아니라 각종 호르몬과 다양한 생체물질로 가득하다.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태반에서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않을 정도로 작아진다면 사람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을까. 마이크로 단위에서 최대한의
기능
을 발휘하는 기기가 있을 수 있고, 나노 단위까지 작아져서 더 좋아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를 찾아서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누구나 지갑 속에 카드 서너장을 기본으로 갖고 다닌다. 카드로 볼록해지는 지갑이 불편하지만 다양한 혜택과
기능
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이 모 ... 연계성이 부족하고 호환성이 없었던 문제들을 해결하고 한장의 카드로 모든 지불과
기능
을 통합하는 시대를 이끌어나갈 것이다 ... ...
암소에서 뽑은 거미줄 섬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거미줄 섬유는 인공 섬유보다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 수술 봉합사 등 다용도의
기능
성 섬유로 쓰일 수 있다. 지금까지 효모와 박테리아를 이용해 거미줄 섬유의 대량 생산을 시도한 적은 있었지만, 포유동물의 세포로부터 거미줄 섬유를 얻어내는 실험이 성공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것이라고 밝혔다.면역 거부반응 근본적으로 차단지금까지 심장·간 등 특정 장기의
기능
이 완전히 상실된 말기 환자들이 소생할 수 있는 길은 인공장기나 뇌사자의 장기를 이식받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인공장기를 만드는 기술은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데다, 뇌사자가 기증하는 장기도 환자의 ... ...
감정 표현하는 휴먼로봇 아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분야 중 컴퓨터비전에 중점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컴퓨터비전 분야는 인간의 시각인지
기능
을 컴퓨터를 사용해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지난 10여년 동안 지식기반 3차원장면이해시스템, 자동목표물인식 및 추적시스템, 지능형로봇시각시스템 등을 개발했다.한편 양교수가 관심을 기울이는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