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월 2일 “선충에서 수명을 최대 10배까지 연장시키는 노화 조절 물질 ‘다우몬’을 세계
최초
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해 구조까지 규명했다. 백 교수와 함께 연세대 화학과 정만길 교수, 연세프로테옴연구센터 정판영 연구원 등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높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팀이 지난해 4월 국내
최초
로 로봇 심장수술을 시작한 이래 10월까지 수술받은 64명의 심장병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0% 성공률을 보였다고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이런 추세로 미뤄보면 앞으로 로봇수술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대 수학과 그레고리 워링턴 교수는 지난해
최초
로 무작위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풀어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무작위 저글링은 유한수열의 형태보다는 마치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네트워크로 나타난다고 한다.공을 한번 던질 때 공중에서 머물 수 있는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
로 밝혀냈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남홍길 교수와 유종상 박사 연구팀은 식물에서 발현되는 ‘피토크롬’이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싹이 틀 때부터 꽃을 피울 때까지 식물의 모든 성장과정은 빛에 의해 ... ...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사탕을 입에 넣고 천천히 녹여먹어라’…임금(세조)의 명을 받아 1460년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
의 식이요법서 ‘식료찬요’에 나온 내용 중 일부분이다. 저자 전순의는 세종부터 문종, 세조까지 3대에 걸쳐 활약한 어의로 이보다 먼저 간행된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의 집필에 참여한 인물.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KTX에서도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라는 뉴스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세계
최초
는 위험해와이브로라는 신기술이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신규서비스이니만큼 불확실한 요소도 있다. 2000년 시장에서 퇴출된 시티폰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시티폰은 지금의 이동전화만큼 ... ...
공룡 잡아먹는 포유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네이처’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이 화석은 당시 포유류가 작은 공룡들을 사냥했다는
최초
의 증거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6500만년 전 공룡이 멸종한 뒤에야 포유류 몸집이 커졌으며 공룡과 함께 살았을 때는 포유류를 쥐만한 크기로 봤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큰 고양이만 해 이 같은 ... ...
450만년전 인류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ramidus)에 속한다.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인간과 침팬지가 갈라진 직후에 존재했던
최초
의 인간으로 분류된다. 에티오피아에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외에도 554만~577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Ardipithecus Kadabba)가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전체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잡는다는 방향양자화를 증명한
최초
의 실험 소립자를 특징짓는 정수값을 가진 내부 양자수 기묘도(奇妙度)라고도 한다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소립자군을 강입자(强粒子)족이라고 칭하며 이들 입자, 예를 들면 양성자와 중성자 또는 π중간자(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1950년대 후반에는 프랑스와 미국에서 사람에게 직접 골수를 이식하기 시작했다.
최초
로 세포 수준에서 성체줄기세포의 존재를 증명한 것은 1961년. 캐나다의 제임스틸과 어니스트 맥쿨록 박사 연구팀은 방사선을 쪼여 골수세포를 파괴한 생쥐에 정상골수를 주사했다. 연구팀은 골수가 비장에서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