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에 암호를 담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섞여 거의 구별할 수 없다. 이제 이 혼합된 DNA 가닥들을 종이에 스며 나오게 해서 나타난
특정
한 점을 떼내 편지에 붙인다.과학자들은 엄격하기로 소문난 미국의 우편제도 아래서도 DNA 암호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편지를 보냈다. 그들은 도착한 편지에서 DNA 암호를 찾아내 ... ...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고통을 유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과학자들이 ‘사이언스’ 최신호에 밝힌 연구에 따르면, 뇌에는 고통을 예감하는
특정
부위가 존재해 이 부위를 자극하면 고통이나 근심을 유발할 수 있고 행동의 변화까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12명의 지원자에게 서로 다른 정도의 고통을 가한 후 자기공명단층촬영을 이용해 뇌의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기적이 곧잘 연출된다는 뜻이다.루르드의 기적 역시 플라시보 효과로 설명된다.
특정
장소의 신성함과 치유능력을 확신하는 환자들이 그곳을 방문하여 흥분상태에 몰입할 때 일시적으로 플라시보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신의 병이 나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혼자서 하는 기도가 건강에 도움이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갖추고 있다.최근 관심을 끄는 해킹 프로그램도 바이러스의 아류다. 해킹 프로그램은
특정
컴퓨터에 이를 심어두면 나중에 외부에서 이 컴퓨터를 자기 마음대로 삭제 또는 조작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백오피스를 패러디한 백 오리피스가 한때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했다.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모래에 잘 달라붙는 분자는 그 통과 속도가 느려져서 다른 물질과 분리된다.최근에는
특정
한 양이온이나 음이온을 잘 잡아당기는 화학물질을 고분자 수지에 부착시켜 만든 이온교환수지을 이용해서 깨끗한 물을 만들기도 한다. 흙 속에서 일어나는 정수 작용을 화학적 지식을 이요해서 더 ... ...
⑥ 첨단 대리모 인공자궁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처음부터 복제 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뇌와 신경계가 발달하지 못한 사람을 만든 후
특정
부위의 장기만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이런 발상은 과학적으로 가능한가를 떠나 생명체를 마음대로 조작한다는 점 때문에 세계 여론의 거센 반발을 받았다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않는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인공마감재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들은
특정
한 주파수대의 음만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파수대에 걸쳐서 고른 음압과 잔향을 얻기가 어렵다. 반면에 목재는 인공자재에 비해 전주파수대에 걸쳐서 흡음율이 일정한 편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부정소에서 정관과 요도로 연결되는 길이 정자의 이동통로다. 선천적으로 또는
특정
질환 때문에 이 이동통로의 어느 부위가 막히면 불임의 원인이 된다.하지만 이 경우는 큰 문제가 안된다. 일단 몸 안에 수정에 필요한 완벽한 재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술을 통해 막힌 곳을 이어주거나,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인류에게 하나의 강박관념이 되었다. 사후의 삶을 믿는 사람들은 영생의 개념을
특정
종교와 결부시켜 영혼의 존재를 인정했지만, 과학에 있어 무덤 저쪽의 세계는 탐구가 불가능한 영역이었다. 따라서 1960년대까지 죽음의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죽은 사람은 말이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발육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도 있다.동물 못지 않은 고도의 기능과학자들은
특정
식물의 꽃이 왜 체온조절을 하는지를 정확히 밝히지 못한 채, 온도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 필로덴드론 셀로움을 발견했던 동물생리학자들에겐 식물의 생태보다 온도조절 메커니즘이 더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