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6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2019 OK’를 포착한 것이다. 지구에 근접한 소행성 가운데 지름이 140m보다 크고 지구와의
거리
가 약 750만 km보다 가까운 경우 ‘지구위협소행성(PHA)’이라 부른다. 2019 OK가 지구와 근접한 곳을 느린 속도로 움직이고 있어 큰 위협이 될 수 있었음에도 이를 사전에 포착하는 데 실패한 것에 NASA가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12년에 이르는 것을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속도”라고 말했다. 그 대신 별과 행성 사이
거리
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20분의 1에 불과했다. 오 선임연구원은 “다른 학자들이 외계행성계가 태양계와 비슷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매여 있던 반면 이들은 고정관념 없이 데이터를 바라봐 외계행성을 발견할 ... ...
WHO의 경고 "한국 청소년 근시 세계 최악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근시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 야외활동을 늘리면 근
거리
뿐 아니라 중장
거리
도 자주 보기 때문에 근시를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다고 권고했다. 일각에서는 성장기 청소년이 키가 부쩍 자랄 때 근시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김 교수는 "신장과 관련된 몇몇 유전질환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생각하면 어마어마하게 빠른 공전속도였다.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
는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
의 20분의 1에 불과했다. 당시의 이해로는 존재할 수 없는 행성이었다. 하지만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교수가 공개한 관측결과는 이 불가능한 행성이 틀림없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됐다. 이 물질이 이루는 거대구조의 규모는 빛이 수백만 혹은 수천만 년을 가야 하는
거리
만큼 크다. 또 밀도의 차이는 있지만 눈에 보이는 천체 현상도 아니다. 피블스가 연구할 1970년 당시 아무도 이 주제에 주목하지 않았던 이유다. 하지만 피블스는 당시 우주 거대 구조가 가진 우주론적 가치를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나 관측 대상이 움직일 때 둘 사이의
거리
가 바뀌면서 파장이 바뀌는 현상이다. 외계행성의 발견은 우주 관측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프랑스 파리 천문대가 운영하는 ‘외계행성 백과사전’에 이달 7일 기준 등재된 외계행성 ... ...
쌍성계 형성 비밀 밝혀준 '프레첼' 모양 가스·먼지 원반
연합뉴스
l
2019.10.08
있는 소행성 벨트와 크기가 비슷하며, 태양~지구
거리
(1AU=1억4천900만㎞)의 28배에 달하는
거리
를 두고 떨어져 있다. 쌍성 원반의 질량은 목성의 약 80배에 달한다. 이 쌍성 원반은 나선형의 복잡한 구조로 '물질 공급 가닥(feeding filaments)'으로 연결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를 통해 쌍성계의 원시 별이 ... ...
"우리은하 중심부, 생각보다 활동적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개의 왜소은하로 구성돼 있다. 우리 은하 지름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약 20만 광년 떨어진
거리
에서 우리은하를 중심으로 돌며 꼬리처럼 물질을 남기고 있다. 그런데 300만 년 전 폭발이 일어나 은하면에 수직 방향으로 방사성 입자 분출이 일어났고, 그 결과 마젤란은하의 궤적도 바깥으로 조금씩 밀린 ... ...
웃어넘길 상황 아닌 원전 상공 드론 출몰…한달새 고리만 6차례·해상침입도 2차례
2019.10.06
늘고 드론 관련 기술의 발전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크기가 작아지고 비행 가능
거리
가 늘어나는 등 드론의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조종자들의 호기심도 크지만 자유롭게 비행하는 구역이 많지 않은 것도 이유로 보인다. 문제는 최근 고리와 한빛 등 특정 원전에 드론 출몰이 집중되고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풍선에 점을 가득 찍고 바람을 불면 점 사이 간격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 채 서로 간의
거리
만 늘어나는 것과 비슷하다. 뇌 등 조직을 팽창시키는 '줌' 기술의 과정이다. 고분자 물질을 이룰 기초 재료(단량체)를 조직에 침투시켜 젤로 만든다. 이후 가열과 가수분해를 거치면 내부에 전하가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