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뉴스
"
방향
"(으)로 총 5,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무렇게나 '휙' 던져놔도 충전 가능한 무선 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판 모양 구조의 페라이트에 코일을 위아래로 감으면 판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의 전류
방향
이 반대가 돼 자기장이 상쇄된다. 그래서 연구팀은 코일을 비스듬히 감아 이런 한계를 해결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서석태 연구원은 "공기보다 자기저항이 매우 낮은 페라이트를 이용하고 구조 설계를 ... ...
"조 전 장관 딸 이름 들어간 KIST 조형물, 삭제기준 마련 전수조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종합국감에서는 교육부가 조사한 미성년자 논문 조사결과에 대한 연구재단의 향후 추진
방향
도 공개됐다. 노정혜 연구재단 이사장은 이날 국감에 참석해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미성년 공저자 논문 및 부실학회 관련 15개 대학 감사 결과와 관련해 미성년자가 공동저자로 들어간 논문들에 대한 ... ...
"교수 갑질·부실학회 참석도 연구부정행위 포함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두 가지
방향
은 언뜻 상반되는 것 같지만, 병행할 수 있다는 게 현정부의 기본적인 정책
방향
”이라며 “연구 부정은 엄중히 제재하지만, 일반적인 연구윤리는 자율적 규율에 따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정부는 연구부정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부정을 일으킬 요인을 제거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것이다. 열대성저기압이 발생하면 저위도의 바다 위를 이동하면서 점점 강해지다가
방향
이 꺾여 위도가 높아져 온대 지역으로 넘어오면서 약해진다.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해수면과 대기의 온도가 높아져 변곡점을 맞는 위도도 점점 올라가고 있다는 말이다. 지난 2014년 학술지 ‘네이처’에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더 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유 교수는 “자기장을 이용해 전류를 특정
방향
으로 흐르게 만들 수 있으므로 자성 소재로 활용하면 전자의 전하와 함께 스핀를 함께 활용하는 차세대 자성 기술인 스핀트로닉스 메모리나 논리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멀리 떨어진 사용자들 가상현실 공유하는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 킬러 콘텐츠로 떠오르는 양
방향
소통서비스와 가상·혼합 현실 서비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SNS 개념을 제시했다.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사업화를 적극 추진해 서비스 신시장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유범재 연구단장은 ... ...
산업용 로봇팔 조종하는 스마트 마우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있는 경우를 일컫는다. 마우스는 아래로 버튼을 당기면 아래로 내려가고, 돌리면 돌리는
방향
으로 회전하는 등 직관적으로 로봇을 조작하게끔 설계됐다. 도현민 한국기계연구원 첨단생산장비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교시 장치로 로봇팔을 제어하는 모습이다.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할로윈 사이언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3D 프린팅 기술로 만드는 제작물과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산업 활용 사례과 발전
방향
을 소개할 예정이다. KIRD 홈페이지(www.kird.re.kr)에서 누구나 선착순으로 사전 신청해 참가할 수 있다.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서도 포럼에 참여할 수 있다 ... ...
[기고]노벨상이 비추는 남루한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
2019.10.15
같은 화학회사에서도 새로운 제품과 시장을 위해 본업인 화학제품을 다른
방향
으로 활용하게 하는 엉뚱한 연구를 장려했다. 명문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뛰어난 인재들이 박사과정에 진학하지 않고 기업의 연구소로 갔다. 이들은 일본의 독특한 논문박사제도를 통해 기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 ...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10.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철새들은 수천km나 되는 먼 거리를 길을 잃지 않고 날아간다. 망막 속에 존재하는 CRY4 단백질이 지구 자기장을 인식해 나 ... 적은 양의 빛으로도 충분히
방향
을 찾을 수 있다”며 “이동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
으로 진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doi: 10.1073/pnas.190787511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