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75건 검색되었습니다.
별과 달의 숨바꼭질 '우습게 볼 일 아니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은하간 거리를 측정할 때도 성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지상 관측 장비나 인공
위성
등을 함께 활용하면 계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日 ICBM 전용 가능 로켓 27일 쏜다
동아일보
l
2013.08.12
배경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일본은 2008년 우주기본법을 만들어 자위대가 정찰
위성
을 방위 목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바꿨다. 특히 지난해에는 JAXA 설치법에서 우주개발을 평화 목적으로 한정하는 조항을 삭제해 우주 공간의 군사적 이용을 가능하게 했다. 산업용뿐만 아니라 군사용까지 ... ...
스마트폰 중독, 부모가 먼저 스마트하게 대응해야
동아일보
l
2013.08.12
3초 이상 누르면 범인이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112 신고가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의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이 작동해 신고자의 위치가 자동으로 경찰에 전송된다. 사례② 스마트폰 앱 ‘카카오스토리’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카카오스토리 왕따’ 일명 ‘카따’ 현상이 등장했다. 누구나 ... ...
고등어 500마리 추적해 우리 식탁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8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다. 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센터 이승종 박사는 “
위성
추적만큼 정확할 순 없겠지만 대략적 이동경로가 이미 알려진 만큼 연구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며 “이번 경로 추적조사를 통해 고등어 산란장을 비롯한 어획실태 조사 등 심층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 ...
해왕성의 잃어버린 막내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08.06
위성
은 아주 빠르게 공전하기 때문에 스포츠 사진사가 달리는 선수에게 초점을 맞추듯
위성
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해야 했다”고 말했다 ... ...
[단독]한국형발사체개발, 항우연에서 전담하기로 사실상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8.06
뒤 조직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단은 1.5톤급 실용
위성
을 태양동기궤도(고도 700km 전후)에 올릴 수 있는 발사체와 발사시스템을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출범했다. 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항우연을 포함한 산-학-연 전문역량을 총집결하기 위해 ... ...
"우주개발은 그리 거창한 게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덜 하신 것 아닌가요. “솔직히 말하자면 지금은 발사체에 ‘올인’했습니다. 인공
위성
은 체계가 잘 잡혀 있습니다. 항공은 항우연이 푸시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시작부터 산업체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성격상 아주 먼 것을 보지 않습니다. 발사체가 오히려 장기적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 ...
2040년 자력으로 외계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시작하는 등 우주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며 “우리나라도 발사체나 인공
위성
분야 핵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확보해 2040년까지는 세계 6위권의 우주 강국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베링해 너머의 구름줄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킬리로미터의 구름이 베링해 너머로 평행선을 이루며 펼쳐졌다. 이 사진은 나사의 지구
위성
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가 지난 4월 7일 촬영한 것으로, '구름줄기' 라 불리는 평행한 구름들은 눈으로 덮인 러시아와 알래스카 남쪽 지역에서부터 이어진 바다 얼음의 ... ...
지구 끝자락까지… 대한민국의 새로운 영토를 열어라
동아일보
l
2013.07.31
축치 해는 예년에 비해 해빙이 훨씬 줄어들어 있었다. 지난해 여름은 북극 해빙의 넓이가
위성
관측 방법이 동원된 1979년 이후 가장 작은 342만 km²에 불과했다. 광복절이던 8월 15일 선실 내부가 술렁거렸다. 아라온호가 어느덧 북위 82도를 넘어 올라간 것이었다. 북극점(북위 90도)까지 남은 거리는 80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