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하우
비결
비법
노우하우
기술
d라이브러리
"
기술정보
"(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직장 생활과 재해 안전 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현재와 같은 사무실이 미래에도 존재할까. 아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이라면 그 어디라도 사무실이 될 수 있다. 또 국제회의를 위해 비행기를 탈 일도 거의 없어질 것이다. 화상 회의와 동시통역기가 전세계인들을 한자리에 묶어주기 때문이다.● 2007년◎음성인식 기능을 갖춘 전자비서 단말기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터넷은 태평양을 건너 수천km를 달려온 거대한 파도와 같다. 그 파도는 카약을 타고 있는 우리를 들어올렸다가 내동댕이치고 말 것이다. 누가 알겠는가, 인터넷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인텔사의 회장인 앤드루 그로브는 인터넷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살고 있는 인간들을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작은 것이 강하다.10억분의 1이라는 극미의 세계를 탐구하는 나노기술(nano technology) 분야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나노(n)는 고대 그리스에서 난쟁이를 뜻하는 '나노스'(nanos)에서 유래한 말이다. 1nm는 10억분의 1m에 해당하는데, 원자 3-4개를 이어놓은 정도의 크기다. 이 엄청나게 작은 세계에 대한 연구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일기예보는 내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일기예보가 공급되는지 살펴보자.내일 저녁부터는 쌀쌀해져서 주말엔 예년 기온보다 떨어지겠습니다. 내일 중부 지방은 비올 확률이 20%로 비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과거 난치병으로 알려진 치명적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는 추세다.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은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 치료의 물꼬를 확실하게 틀 것이다. 하지만 병원균과의 전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새로운 세기의 시작이 바로 눈앞에 다가왔다. 이제 20세기의 사고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전화도청기, 실내용 대화도청기, 야외용 고성능 마이크 등은 이미 알려진 고전적인 도청기에 속한다. 멀리서 입모양 만으로 대화를 구성해내는가 하면, 유리창의 진동을 음파로 재생해내는 레이저 도청장치까지 오늘날 우리의 사생활은 계속해서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도청의 원리를 알고 나면 우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마치 ‘죽음의 광선’처럼 잘못 알려진 방사선이 생명을 소생시키는 병원에서 많이 쓰이고 있음은 참으로 아이러니컬한 현상이다. 핵의학회에 따르면 1997년 30만건의 갑상선 진단을 포함해 2백여만명의 환자가 방사성동위원소 진단과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이를 위해 국내 1백10개 종합의료기관이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은 A라는 화합물(반응물)내의 원자간 화학결합들의 조합을 재구성해 새로운 화학적 성질을 지닌 B라는 화합물(생성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화학반응에 의한 반응물에서 생성물로의 변화에는 화학결합의 소멸과 생성이 반드시 수반되며, 대개의 경우 이러한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삐리리리~ 삐리리리~” 여기저기서 핸드폰이 울리고 있다. 이어진 전화선도 없는 이동전화가 어떻게 울릴 수 있을까. 웬만큼 아는 사람이면 ‘전파가 안테나로 들어와서 전화기가 울리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면 내 목소리는 어떻게 전파로 보내지며, 상대의 핸드폰은 어떤 원리로 신호가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