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생각하고, 그만큼 좋아하는 마음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지겠죠?그렇군요. 저도 사실 양쪽 눈이 짝짝이라 좀 속상한데…, 이것도 저만의 매력 포인트 아닐까요?(침묵)…. 다음 사연입니다. 이번에는 커플의 사연이군요.이제 갓 100일 넘게 아름다운 사랑을 키워가고 있는 미키 마우스입니다. 하지만 요즘 ... ...
- [화보] 사진 속 발칙한 상상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들에서,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풍경이 담겨 있었어요. 하지만 하이네의 눈에는 중력을 거스르는 거리나 게임 블록이 떨어지는 모습이 보였지요.내 주변에서는 어떤 재미난 일이?벤 하이네는 자기 작품에 담긴 무한한 상상의 세계를 많은 사람들에게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래서 ...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시큼, 새큼, 씁슬, 짭조름.치즈 한 조각을 말랑말랑한 빵 위에 올려 한 입 물었다. 부드러운 식감 뒤에 퀴퀴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곰팡이 때문이다. 비록 식재료에 핀 곰팡이들은 혐오스러 ... 산의 세기를 나타내는 수치다. pH<7.07은 산성. pH=7.07은 중성, pH>7.07은 염기성으로 나눈다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쌓으면 줄눈이 좀 더 복잡하게 생긴다. 이를 ‘막힌 줄눈’이라 한다. 막힌 줄눈이 통 줄눈보다 훨씬 튼튼하다.제한된 재료로 연필꽂이 설계하기“설계는 언어예요. 누구나 설계 도면을 보고 어떻게 생긴 건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죠.”조원용 건축사는 설계의 기초에 관해 이야기하며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그 결과 대기 중 물의 농도가 증가하고 태풍도 더 쉽게 만들어진다. 지하수가 위험하다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수도 기후변화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지하수는 인류가 사용하는 신선한 물의 3분의 1을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용수의 40% 이상을 책임진다. 하천과 바다에 물을 공급해 마르지 않게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꼭 필요하다”고 말한다.복잡한 사회생활은 거짓말을 낳았고, 거짓말은 다시 인류의 눈부신 발전을 낳았다. 거짓말이야말로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하는 요소다. “호모 팔락스(Homo Fallax, 속이는 인간)”. 뉴잉글랜드대 진화심리학연구소장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우리는 왜 거짓말하는가’라는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네, 지구 상공 407km 지점에 떠 있는 GPM입니다. 레이더와 극초 단파로 지구에 내리는 비와 눈의 양을 측정해 3시간마다 지구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가 높이 10km, 폭 200km를 동시에 측정한 영상을 3차원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이번 태풍은 엄청난 강수량까지 동반한 사상 최악의 ... ...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뱃속 거지가 시킨 일이었다는 게.“자기는 밀떡볶이가 좋아, 쌀떡볶이가 좋아?” 소녀가 눈을 반짝이며 묻습니다. 며칠 전 라면을 끓이다가 계란노른자를 터뜨릴지 안 터뜨릴지를 두고 너는 음식을 아네 마네 하면서 한바탕 말다툼을 한 터라 소년은 고민합니다. 뭐라고 답해야 후폭풍이 없을까요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백두산이 훤히 보이는 회의실로 들어가자 백발이 성성한 10여 명의 자문위원들이 형형한 눈으로 나를 반겼다. 대선배인 이들에게 정중히 인사를 한 뒤, 아직은 대외비인 새 임무를 브리핑했다. 주제는 한국형 원자력 로켓을 탑재한 신형 유로파 탐사선이었다.화성 이후 새로운 목적지인 유로파는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한번도 챈 적이 없습니다. 제가 둔한 걸까요.“모르시는 게 당연하죠. 아주 미세해서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오래 관찰하지 않으면 알아채기 힘들어요.”설명을 들어보니 이렇습니다. 목조 문화재나 석재 문화재는 원래 ‘계절’을 탑니다. 목조의 경우 계절에 따라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