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벌집 모양으로 돼 있어 무게는 가볍지만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종이꽃, 장난감 등 다양한 만들기에 사용돼요. 그런데 왜 하필 벌집 모양을 본떴을까요? 벌집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방 하나하나가 육각형 모양이에요. 왜 그런 모양인지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였죠. 1964년 헝가리 ... ...
- [특집] 결정장애야 물러가라! 추천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결과를 내기 위해 5개의 모형을 합쳐 만들었습니다.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협업 필터링 등의 추천 기술에 통계와 기계학습 방법까지 더했죠. 그리고 각 알고리듬을 동시에 사용해 추천합니다.이때 콘텐츠의 종류나 상황에 맞게 각 모형의 결과를 잘 조합해야 합니다. 추천 상황에 따라 콘텐츠 기반 ... ...
- [기획] 백신으로 누구부터 구할까?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값을 조절하며 최적의 상황을 찾았습니다. 예를 들어 백신의 효능은 97%, 70%, 50%인 경우 등으로 나누고, 백신의 물량은 인구의 10%에서 90%까지 접종할 수 있는 경우를 10% 간격으로 나눴습니다. 그리고 각 상황별로 백신 접종 연령대를 바꿔가면서 그때 발생할 수 있는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를 ...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비용이 드는 일이에요. 마스크를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불편함 등을 감수해야 합니다.따라서 수동이 협력한다면 수리는 배신하는 것이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선택입니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을 견디지 않아도 상대의 마스크 착용으로 전염병 예방 효과를 누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생각해보지 않은 것을 하면 그 순간부터 연구가 시작되는 거죠. 미국수학회지나 인터넷 등을 통해 풀리지 않은 문제를 찾아볼 수 있어요. 깊게 파고들어 가면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죠. 슬기로운 수학생활 1번 문제도 미해결이에요. 이론적인 연구도 있어요. 집합이나 정수 같은 특정 수학 개념에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결과예요. 2013년, 초등학교 5학년이 되면서 지사탐 1기로 활동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어요. 8년간 저희가 올린 탐사 기록만 해도 1만 건이 넘더라고요. 처음엔 생물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었는데, 매년 탐사를 하면서 탐사 실력이 늘었죠. 지사탐 활동으로 양질의 자료를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길이와 세로 길이 비율은 물론이고, 턱과 코 사이 길이와 코와 눈썹 사이 길이의 비율 등도 황금비율을 따르지요. 이번 호에서는 엔트리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여러분 얼굴에 황금비율이 있는지 찾아볼 거예요. 황금비율을 재는 여러 기준 중에,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입술의 너비’의 비율인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유해뿐만 아니라 발자국처럼 생물이 남긴 흔적, 생물을 구성했던 단백질 같은 유기물 등을 모두 화석으로 여기죠.화석은 지구와 고생물의 역사를 밝혀줄 보물이에요. 수천만 년 이상 암석 속에 숨어 있던 화석은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진화 순서를 파악하는 실마리가 돼요. 또 지층마다 각 시대를 ... ...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7마리였던 야생 개체 수가 2019년 337마리로 늘었어요. 이외에도 검은발족제비와 붉은늑대 등이 동물원 덕에 개체 수가 늘었고, 세계동물원수족관협회(WAZA)는 매년 약 3000억원 이상을 야생생물 보전 활동에 기부해요.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동물원이 전시보다는 보전 노력에 힘써야 사람들도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우리의 예상보다 빠르게 생체 내 분자를 탐구할 수 있는 훌륭한 성능을 갖춘 AI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CASP14 학술대회에서 “향후 디지털 가상 세포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과학소설(SF) 같은 일이 진짜로 실현될 날을 기대해 본다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