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메일을 보내요. 그런데 전 그 친구들에게 “그 꿈이 정말 너의 꿈이 맞니?”라고 물어보고 싶어요. 진짜 그걸 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쩌면 부모님이나 미디어에 의해 강요된 걸 수도 있어요.전 학생 때 꿈이 없었어요. 어린 시절에는 세상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으니 뭘 해야 할지 모르는 게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마치 45개의 숫자 중에서 6개를 맞히는 로또에서 과거에 자주 나왔던 숫자가 무엇인지를 보고 숫자를 선택하는 것과 같다. 매번 새롭게 펼쳐지는 경기는 과거와 관계 없는 ‘독립적인 사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관련이 있는 ‘종속적인 사건’일 거라는 감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이다.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흥미를 느끼지 못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라이프니츠의 미분 관련 논문들이 실린 잡지를 보고 수학자가 되기로 결심했죠.제가 먼저 수학 공부를 시작했지만, 동생인 요한 베르누이가 단 2년 만에 저를 따라잡았어요. 대단한 동생이죠? 결과적으로 동생은 '로피탈의 정리*'를 발견하는 등 저보다 더 ... ...
- “교실에 과학책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책밖에 못 읽는다0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3 국민독서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연평균 독서량은 2011년에 비해 늘어났다. 하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좋아할 수만은 없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독서량이 늘어나는 정도가 줄어들다가 고등학생에 이르면 오히려 ... ...
- 4개의 쿼크+반쿼크 ‘Z-입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4월 9일, 기존의 이론을 만족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강입자(하드론)를 높은 정밀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강입자는 물질 ... 이번 연구가 자연의 4대 힘 중 하나인 강한 상호작용의 비밀을 푸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
- 바다에 살던 연어가 고향 강 찾아오는 비결은 ‘GPS’?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비치는 각도 등의 변화를 감지해 먼 거리를 이동해요. 어떤 철새들은 별자리의 위치를 보고 이동하기도 한답니다. 푸트먼 박사 연구팀은 거북과 상어, 고래와 같은 동물들도 저희처럼 선천적으로 지구 자기장을 느끼는 감각을 타고난다고 추측하고 있어요.너의 능력이 참으로 놀랍고 부럽구나! 나의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정치뿐 아니라 패션, 영화, 책,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직접 만져 보고 깊이 들여다볼 수 있어요. 그런데 데이터를 숫자화하려면 프로그래밍이 꼭 필요해요. 저도 포커를 만들기 위해 직접 알고리즘을 짜며 프로그래밍을 했거든요.따라서 데이터과학자를 하려면 프로그래밍을 ...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근처의 환경은 어떤 특성이 있고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있답니다.지붕이 푸른 장보고과학기지는 정말 아름다워요. 희다 못해 푸르게 빛나는 눈과 잘 어울리지요.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인데, 자꾸 기지 쪽을 돌아보게 되네요. 이번에는 미국 맥머도 기지의 도움으로 비행기를 타고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관계를 게임 디자이너가 정해 주면 복잡한 게임도 만들 수 있다.게임의 규칙을 정해놓고 보고 나면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규칙을 만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고도의 논리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규칙 정하기는 수학의 증명과 서로 많이 닮았다.게임 스토리메리는 집에서 ...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러나 이번 연구로 볼 때 울릉도는 살아있는 화산이다. 게다가 (아직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울릉도 하부의 지열이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다. 그동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에서 울릉도를 3곳 정도 시추했는데, 울릉도 지역은 1km 내려갈 때마다 100℃ 정도 증가했다. 일반적으로는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