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콜럼버스 달걀'의 또다른 비밀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수도 있습니다.저녁식사에 초대한 친구들에게 식사 후의 오락으로 균형의 실험을 선보여
보기
바랍니다. 친구들이 실패를 거듭할 때 당신의 비밀을 가르쳐 주십시오. 과학의 힘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자존심은 민간 기술에서 잘 나타난다. 이른바 '코끼리 밥통사건'이 그 대표적인
보기
다. 1982년 고위 공직자의 부인들이 일본에서 코끼리 밥통을 하나씩 안고 들어온 것이 신문에 보도돼 많은 사람의 눈쌀을 찌푸리게 했다. 그러나 전대통령은 당시 국내 기술로는 그만한 제품을 만들 수 없다는 보고를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동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용될 것이지만 수만년 내지 수십만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보기
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이들의 이동성에 대해 아란 워커는 호모 에렉투스가 사냥을 하고 고기를 먹게 되면서 훨씬 많은 거리를 움직이게 됐을 것이며 이동의 속도도 빨랐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보도가 있기도 했다. 이 보도는 또 미국의 정보위성이 포착한 이 2단미사일 모형은 미 정
보기
관에 의해 잠정적으로 '대포동2(TD2)'로 명명됐다고 전했다.● 노동 1호북한이 스커드B형 미사일을 대폭 개량한 것으로 스커드D형으로 분류된다. 핵무기와 생화학무기 장착이 가능. 또 북한이 신형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준다. 별들은 원래 하루에 4분씩 빨리 뜨고 빨리 지는데, 요즘은 날이 길어지면서 별을
보기
시작하는 시간도 그만큼 늦어진다. 따라서 우리가 별을 볼 때는 다른 때보다도 별들이 더 서쪽으로 치우쳐서 보이는 것이다. 이달의 행성■ 거대행성 목성의 충태양이 진 서쪽 지평선 위의 저녁노을이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른바 자기조직화(self organization)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자기조직화의 가장 간단한
보기
는 모래언덕이다. 모래를 한번에 한 개씩 떨어뜨려 언덕을 만든다면 경사가 가파라질수록 더욱 큰 사태가 일어나면서 많은 모래알이 아래로 흘러내릴 것이다. 위에서 떨어뜨리는 모래알과 아래로 ... ...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대해 알아
보기
로 하자. 페스트와 뉴턴중력에 대해 알기 위해 우선 뉴턴에 대해 알아
보기
로 하자. 뉴턴(1642-1727)은 1664년 20대로 갓 접어든 나이에 케임브리지 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이 해에 런던에서는 전염력이 강한 페스트가 유행, 케임브리지 대학은 휴교에 ... ...
소백산천문대 촬영 M51 초신성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는 4월4일에 첫 촬영에 성공했다. 1994I는 처음 발견됐을 때 겉
보기
등급이 13.5등급이었으며 현재 밝기가 계속 증가되고 있다. 초신성은 태양보다 10배 이상 질량이 무거운 별이 일생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현상이다.천문대측에서는 이 초신성에 대한 관측을 지속적으로 ... ...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식으로 표시하면 질량 m에 작용하는 힘이 F일때 생기는 가속도를 a라고하면 a = F/m 이며
보기
좋은 모양으로 고치면 F=ma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신발과 나 사이에 주고 받는 힘은 같지만 그로 인해 생기는 가속도는 질량이 작은 신발이 훨씬 크다.신발이 내 손을 떠났을 때에 물론 신발은 빠르게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눈이 작고 턱이 크다는 지식이 고정관념이 돼 오히려 한국인 자신의 얼굴 모습을 제대로
보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판정 모델은 불과 20%정도의 성공률-일본인보다 턱이 큰 형의 얼굴은 한국인에게 18%정도 출현한다-때문에 한국인 얼굴의 특징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유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