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을 처리하는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였다. 그리고 70년이 흐른 현재, 5세대 컴퓨터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디지털 대신 연속적인 아날로그를, 동시에 엄청난 양의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해결하기 어렵다. 일을 하나씩 처리하는 기존의 방식(폰노이만 방식)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5세대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가 마주할 다음 위기는 바로 이 5세대 컴퓨터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가 없다는 점에서 비롯된다.먼저 양자컴퓨터를 보자. 양자의 특성을 이용하는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낳은 아이들에게 이 같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코티솔 농도가 낮은 아이들은 새로운 스트레스 자극을 줬을 때 상대적으로 더 괴로워하는 반응을 나타냈는데, 이 역시 사건 당시 임신 후기였던 여성이 낳은 아이들에게서 심했다.테러 피해자의 배우자에게서도 PTSD 증상이 나타났다는 보고도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여덟 조각으로 나뉘어 있다. 서로 다른 독감 바이러스가 한 세포에 들어가 섞이면, 새로운 바이러스가 될 가능성이 있다. 독감 바이러스는 해마다 H와 N 단백질의 유전자를 살짝 바꿔 인체 세포를 공격한다. 이런 변이는 독감 바이러스가 인체의 면역세포들에게 적발되지 않고 침입하려고 ‘눈 밑에 ...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소방수였을까이런 등판 상황에 따른 불합리함을 해결하기 위해 세이버매트리션들은 새로운 기록을 만들었다. 이름도 불을 끄고, 불을 지르는 마무리 투수들의 별명에서 따와 ‘셧다운’과 ‘멜트다운’이다. 두 가지 기록은 모두 투수가 등판한 상황을 확인한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귀납적으로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특히 기억을 담당 ... 지금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영상유도 수술, 가상수술 시뮬레이션 등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기술분야를 만들고 있다 ... ...
- 점프~! 장애물을 넘어가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단지 달리고, 점프할 수 있을 뿐이었죠.이번에 공개된 치타 로봇은 그런 단점이 보완된 새로운 치타 로봇이에요. ‘라이더’라는 레이저를 이용해 자신의 앞에 있는 땅의 울퉁불퉁한 모양이나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답니다. 치타 로봇은 라이더를 이용해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다음, 첫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만든 식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재발견하기도 했다. 라마누잔의 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연구 결과도 나왔다.자연수를 나눈다고?라마누잔은 정수론을 주로 연구했는데, 라마누잔의 연구는 후대에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정수론은 수 자체를 다루는 분야다. 수 자체의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지 소개했다.이날 강연에 참여한 사람들은 수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됐을까? 박종원 인천 인제고 1학년 학생은 “교통체증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한다는 것과 영화 제작에 수학자가 참여한다는 것이 신선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장윤선 구리 교문중 교사는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근거로 들었다. 무언가 엉성하다는 것을 눈치 챘겠지만 프리드 교수가 신드롬 E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밝혀낸 것은 아니었다. 대신 뇌과학에서 이미 알려져 있던 사실을 바탕으로 신드롬 E를 연상할 수 있는 내용을 끼워 맞춘 것이다. 당시에는 뇌파검사(EGG)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이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