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우리별1호(92년)를 거쳐 우리별2호(93년)를 KAIST(한국과학기술원) 산하의 인공위성연구
센터
에서자체적으로 개발한 바 있으며, 99년에는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우리별3호(1백kg급)를 인도의 ASLV로켓에 실려 발사할 예정이다.방송통신용 실용위성인 무궁화1,2호(95년 12월과 96년 1월 발사)는 돈을 주고 사온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6개의 지역별 기술이전
센터
가 운영되고 있다.캘리포니아주 마운틴에 위치한 에임스연구
센터
는 1939년부터 비행기술을 연구해왔는데, 최근에는 정보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기술은 곧바로 이웃한 실리콘밸리로 흘러가고 있다. 물론 실리콘밸리에서 개발된 신기술이 NASA로 들어오기도 ... ...
북한 천연기념 동물15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국가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학원’에서 독립한 ‘자연보호
센터
’에서 러시아, 중국, 일본과 공동으로 두루미류의 이동경로를 인공위성으로 추적중이다.현재까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은 총 1백2종.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이로운’ 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특이하다. ...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 치약을 양치용 이상으로 잘못 삼켰다면 즉각 전문적인 도움을 청하거나 독물 중독
센터
와 접촉하라." 그렇다면 왜 조심스럽게 접해야 될 독성이 강한 물질을 우리들은 친근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일까?2 불소가 치약에 들어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사실 불소가 충치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호가 바이코누르우주기지에서 발사됐고, 7시간 뒤 3명이 탑승한 아폴로 18호가 케네디우주
센터
를 떠났다. 이들은 7월 17일 2백25km 상공에서 역사적인 첫 도킹에 성공했다. 도킹이 일어난지 3시간 후 아폴로 18호의 토마스 스태퍼드선장이 먼저 소유즈를 방문했다. 상호 방문은 4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4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한다. 여기에는 대형 사진파일과 시원스러운 일러스트레이션이 기다리고 있다.마샬우주
센터
는 중점전략사업으로 경쟁력 있고 안전한 차세대 재사용발사체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X-34는 올해 말 시험비행이 예정돼 있고, 내년 3월에 비행할 X-33은 차세대 무인발사체로서 자동제어를 통해 ... ...
태양전지 비행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백조처럼 힘차게 날았다. 성공이었다! 이날 민들레호는 디저트
센터
에서 애리조나주까지 약 4백km를 날아갔다.민들레호는 8월 4일 애리조나주 윌콕스에서 출발해 9월 3일 최종 목적지인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키티호크에 무사히 도착함으로써 두번째 비행에도 성공했다. 총 ... ...
스트레스 받으면 기억력 손상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과정을 방해하는 물질로만 알려져 왔다.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학습 및 기억 신경생물학
센터
'연구진은 쥐를 물이 채워진 미로에서 헤엄쳐 빠져 나오는 훈련을 시킨 후, 실험 30분 전 물에 약한 전기 충격을 주었을 때 쥐는 아무 어려움 없이 길을 찾아냈다. 흥미롭게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은 ... ...
개처럼 짖는 새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조류를 발견했다. 미국 필라델피아의 자연과학아카데미 소속 네오트르피칼 조류
센터
소장인 로버트 리질리는 깡충깡충 뛰면서 짖어대는 새로운 종류의 조류(앤트피타 종과 비슷)를 발견했다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최근호에 보고했다.리질리는 지난해 11월 에쿠아도르 포도카르푸스 국립공원 ... ...
흑염소 메디가 만든 인간의 백혈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세계 최초로 인간의 백혈구 증식인자를 가진 흑염소 메디를 탄생시킨 KAIST 의과학연구
센터
는 1995년 6월 설립돼 유전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여기에는 유욱준 교수를 중심으로 30여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