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쓰는 컴퓨터 알면 알수록 깊어지는 재미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애쓸 필요는 없으며, 하드웨어에관한 간단한 이해와 DOS나 프린터조작법 등의 최소한의
지식
을 습득하고 나서 흔히 사용되는 워드프로세서와 데이터베이스 또는 스프레드 시트의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간단한 실무에 적용시켜가는 것이 자연스럽게 컴퓨터와 친근해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후에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매번 2~3명의 성공한 발명가를 초빙, 발명을 지망하는 아마추어 발명가들에게 산
지식
을 전달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주부 학생들을 포함 2백여명이 넘는다. 특허 협회 진흥과 장선기과장은 “처음 시작할때는 사람이 모이지 않으면 어떡하나 걱정했는데 요즘은 자리가 없어서 서서들을 정도로 ... ...
물리 힌트나 연구를 이용해 응용력을 길러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관련시켜 좀더 가필하여 자기의 것으로 완성시켜 활용하면 이해가 확실해지고 체계적인
지식
의 정리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 - 대개의 참고서는 예제(또는 연구 문제)→연습문제(교과서 문제)→실력양성문제(A·B 2단계)의 3단계로 되어 있다.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문제에 ... ...
제4회 전국 퍼스널컴퓨터 경진대회 개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것으로 시도별 예선에서 BASIC언어의 이해도, 프로그램의 기본개념, 컴퓨터의 기초
지식
등 간단한 테스트와 서류심사로 본선진출자를 결정하며 본선은 4월26일 잠실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에서 거행한다. 본선에서는 8비트(교사부 일반부는 16비트도 가능) 국산 PC를 사용한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555-85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함께 살아가기 위해 새로운
지식
을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지구를 파괴하기 위해 새로운
지식
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서있는 것이다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물고 고리가 되어 있는 꿈에서 벤젠의 분자구조를 생각해냈다.REM수면중의 꿈에 나타난
지식
은 터무니 없는 순서로 등장한다. 그러나 그 엉뚱함을 이용하는 것은 그 사람의 지적능력에 달려 있다. 케쿨레가 본 2마리 뱀꿈도 보통사람에게는 단지 악몽이었을지 모른다.또한 꿈이란 어느정도 병을 ... ...
컴퓨터 범죄 하이테크 사회의 새로운 재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통해 범죄의 사전예방을 꾀할 것이며 둘째 수사기관 내지 법집행기관이 컴퓨터
지식
에 정통하도록 노력함으로써 컴퓨터 범죄에 대한 법집행에 구멍이 뚫리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또한 컴퓨터범죄에 대한 기존 법체제의 불완전을 보완함으로써 컴퓨터범죄의 처벌에 완벽을 기하도록 하는 ... ...
생물 암기에 앞서 체계적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본인이 그렇지 못할 형편이면 머리속으로라도 실험 과정을 생각하면서 이미 배운
지식
을 토대로 결과나 고찰을 따져 보아야 한다. 고등학교 생물 교육 과정은 다음의 6가지 개념을 충족시키는 내용이다.①다양성과 단일성의 개념②유전적 연속성의 개념③생물과 환경의 상보성의 개념④조절과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람에 관한
지식
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바람의
지식
은 불의 운동 그 자체에 의해서 논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증적인 과학이야말로 공중에서 나는 물체의 인식에 도달하는 첫 단계이다.… 물 속 에서의 수영은 인간에게 어떻게 새가 공중을 나는가를 ... ...
생명공학, 전자공학에 지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그럼 생명공학이 경쟁에서 뒤진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그것은 DNA에 관해 고도의
지식
을 쌓았음에도 세포의 생리단계 및 단백질연구가 대단히 어렵고 당초 생각했던대로 연구진척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학자들은 말한다.예컨대 Escherichia Coli 박테리움의 발생에 관해서는 충분히 밝혀졌지만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