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어린이과학동아
"
빛
"(으)로 총 3,266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압력과 서늘한 수온은 어떻구. 난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다고 확신했어.그런데 내 생각이 틀렸어. 한줄기의
빛
조차 들어오지 않는 바다 밑이지만 스멀스멀 다가오는 생명의 그림자들을 보며 나는 경악했지. 바닷물이 따뜻해서 많은 해양생물들이 살고 있는 인도양을 지날 때였어. 모모는 팝음악을 들으며 평온한 낮잠에 빠져 있었고, 나는 노 ...
3짱 프로젝트-건강한 눈,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것을 말합니다. 근시인 경우 가까운 곳의 물체는 선명하게 보이지만 먼 곳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원시 원시는 근시와 반대로
빛
이 망막 뒤에 맺히는 것입니다. 보이는 것도 근시와 반대로 가까운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지만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요. 난시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일정하지 않아 초점이 두 개 혹은 더 많이 생겨 물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밀도는 똑같지 않다.
빛
이 밀도가 서로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
빛
이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이상굴절을 일으켜 도깨비불처럼 보일 수 있다. 동양 귀신 대표 (2)처녀귀신 하나같이 다 칠칠치 못하긴. 얘기를 들어 보니 정말 한심하군. 진짜 무서운 귀신은 나처럼 억울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9
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뉴턴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빛
을 굴절시키지 않는 망원경을 연구하였다. 뉴턴은
빛
의 반사를 이용한 망원경을 생각하고, 청동을 갈아 만든 2.5센티미터의 오목거울과 평면경을 사용한 길이 15센티미터의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다. {BIMG_r15}1774년 허셸의 망원경 독일에서 태어난 허 ...
맛있는
빛
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잠자리를 잡기가 쉽지 않은 이유도 겹눈이 우리의 움직임을 금세 포착해 내기 때문이다. 곤충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자외선의
빛
도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것 전부를 믿지 마세요! 같은 사물인데도 원래의 색이나 모양, 크기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착시라고 한다. 착시는 사물을 보는 과정이‘눈’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뇌’를 통한 지각과 경 ...
빛
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처음으로 제안했다. 지구궤도에 태양전지판을 단 위성을 띄우거나 달표면에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우주에서는 태양
빛
이 지상보다 훨씬 강하고 날씨와 밤낮에 구애받지 않아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우주에서 발전한 전기 에너지는 마이크로파로 변환해 무선으로 지상에 전송된다. 아낌없이 부는 바람 아무도 볼 수 없지만, 누구나 느낄 수 ...
두근두근 거짓말의 유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11
신호를 보고 교활한 암컷들은 가짜 신호로 응답합니다. 이 신호를 보고 날아온 수컷은 암컷에게 잡아먹혀요. 반딧불이가 사용하는
빛
의 언어가 종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비극이에요. 덩실덩실 노래와 춤의 유혹 우리 친구들 사이에서도 노래를 잘 부르거나 춤을 잘 추면 인기가 있잖아요. 자연에서도 마찬가지예요. 달콤한 노래와 매력적인 춤으로 인기 ...
동요나라엔 불가능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호’라고 하는 우주범선을 만든 적이 있어. 이 배에는 10층 건물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 15m의 삼각형 돛이 8개나 달려 있어. 이 돛이 햇
빛
을 타고 움직이지. 각각의 돛은 알루미늄이 섞인 얇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졌어. 아쉽게도 첫 실험은 실패했지만 언젠가는 가능할 거야. 우주범선은 우주선보다 훨씬더먼별에 까지 갈 수 있다고 해. 앞으로 그것도 ...
동요속 숨은 과학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사람들이 강가로 놀러 간다. 왜 강 주위는 시원하고 바람이 많이 불까.그것은 강과 땅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여름 한낮에 햇
빛
이 쨍쨍 내리쬐면 땅의 온 도는 많이 올라가지만 강은 상대적으로 적게 올라간다. 이런 온도 차이 때문에 공기가 움직여서 바람이 만들어진다. 온도 차이가 많이 날수록 바람은 더 강하게 분다. 알쏭 달쏭 음악이야기 ▶최초의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