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가장 큰 ‘슈퍼문’ 20일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부른다. 타원형 궤도로 지구를 공전하는 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에 따라 관측
크기
가 달라진다. 지구와 달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보름달이 더 둥글고 크게 보이는 이유다. 슈퍼문이 뜰 때 지구와 달 거리는 약 35만7151km다. 지구와 달 사이 평균거리인 38만4400km보다 가깝다. 슈퍼문을 실제로 볼 수 ... ...
약효 지속시간 늘고 조직 침투효과 큰 하이브리드 항암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 또 다른 신약후보인 항체 의약품은 혈중 반감기는 길지만
크기
가 커서 암 조직의 깊은 곳까지 전달되지 않아 약효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들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암 표적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니코틴의 대사체인 코티닌에 항체와 ... ...
加연구팀, 젊은 뇌 만드는 약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시절보다 50%로 떨어진 쥐의 기억력이 80%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와 질환으로
크기
가 줄어든 뇌도 원래대로 돌아와 뇌세포 재생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빌 CAMH 부소장은 “약물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 초기 발생하는 기억력 감퇴를 예방할 수 있다"며 "2년 내 우울증이 있는 ... ...
[애니멀리포트]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17
1999년 마르치키타호의 모습. (오른쪽 사진)2017년 마르치키타호의 모습. 물이 줄어들어
크기
가 작아졌고, 호수 중간 섬이 더 드러났다. ESA 해외에서는 동물권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축제 성격을 바꾸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매년 8월 영국 러틀랜드 워터 자연보호지역에는 수만 명의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고난도 비행을 수행했다. 그리고 이 임무에서 우주먼지분석기(CDA)를 이용해 수십nm
크기
의 입자들이 고리 표면뿐만 아니라 토성의 중위도 지역에도 몰려 있는 것을 알아냈다. 카시니의 임무는 초당 무려 100톤(t)의 입자가 고리 비의 형태로 토성에 흡수되고 있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렸다. 오도노휴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차임 전파망원경’이다. 전파망원경은 천체가 내뿜는 전파를 모아 그 천체의 위치와
크기
, 구성 성분을 알아내는 장비다. 캐나다 차임 전파망원경은 지난해 초부터 우주를 관측하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지난해 8월 이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고속전파폭발(FRB)’ 현상을 탐지했다. FRB는 1ms ... ...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새로 개발한 에어로젤은 램프로 바로 아래에 불을 가해도 전혀 열이 전달되지 않는다. 열차폐 능력이 지금까지 나온 어떤 재료보다 뛰어나다(왼쪽). 오른쪽은 ... 것”이라고 말했다. 매우 가벼워 꽃의 암술 위에도 올릴 수 있다. 어른 새끼손톱 만한
크기
가 0.1mg이 채 나가지 않는다. UCLA ... ...
"우주에서 전기 만들자" 우주 태양광 연구에 세계가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계획안에 따르면 한국의 첫 우주발전소는 가로 5.6㎞, 세로 2㎞의
크기
로 여의도의 약 4배
크기
다. 가운데는 1㎢의 안테나를 달아 지구로 전기를 보낸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도 설치된 둘둘마는 방식의 롤러블 태양전지를 설치해 인공위성을 경량화하겠다는 목표다. 발사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 ...
"수고했어. 오퍼튜니티"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발사돼 이듬해인 2004년 1월 24일 화성의 메리디아니 평원에 착륙했다. 골프 카트
크기
만 한 작은 탐사선은 태양광 발전을 동력으로 이용해 평균 초속 1㎝의 속도로 움직이며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애초에 오퍼튜니티는 약 92일 동안 약 1km 거리를 운행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그 기간을 훨씬 ... ...
암호학계 난제 해독한 천정희 교수… 포스코청암 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양산에 성공하기까지 핵심기술 개발을 주도한 수소차 전문가다.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
의 가격경쟁력을 가진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주도해 수소차 관련 핵심부품을 90%이상 국산화하는데 힘쓴 공로로 기술상에 선정됐다. 교육상에 선정된 여명학교는 북한 이탈 청소년을 위해 2004년 민간주도로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