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과학동아 l199807
- 놓인 흰 종이에 모아보자.방바닥과 볼록렌즈 사이의 거리를 적당히 조절하면 등의 불빛 모양이 비쳐진다. 이 상태에서 다른 한 손에 들고 있는 돋보기를 이용해 방바닥에 나타난 등의 모습을 보자. 형광등의 모습이 크게 확대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확인하기 : 방바닥에 등의 모습을 만들게 ... ...
- ④ 고대에도 태양관측 있었다과학동아 l199807
- 추정된다. 그러나 해의 광구 면에서 흑점이나 행성을 찾아내는 것은 기상조건 때문에 햇빛이 약할 때가 아니면 대낮에는 육안으로는 할 수 없다. 때문에 주로 해뜰녘이나 해질녘에 관측해 이상현상을 발견했을 것이다.맨눈으로 흑점을 볼 수 있는지를 필자가 직접 확인해 보았는데, 지평선 가까이에 ... ...
- 국내 초등학생 3명 투시 능력 공개과학동아 l199807
- 대뇌피질을 자극함으로써 시지각이 발생한다. 그런데 만일 '어떤 형태'로든 다른 파장의 빛이 대뇌피질을 자극한 다면 평소 안보이던 것도 보일 수 있다. 물론 '어떤 형태'가 과연 무엇인지 밝히기 어렵다. 과학자들에게 남겨진 연구 과제다.서유헌 교수(서울대 의대 약리학·한국뇌학회장)는 "뇌의 ... ...
- 파란 장미가 생긴다.과학동아 l199807
- 붉은색 안토시아닌이 그것이다. 이들 색소 때문에 엽록소의 초록색과 어우러져 보랏빛을 띤 짙은 청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꽃의 파란색이란 보라색을 띤 청색일 뿐이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파란 꽃이란 없다고 할 수 있다.새로운 문제는 유전자 변형 카네이션이 꽃을 잘라 꽃병에 꽂았을 ... ...
- 신들이 노닐던 신라의 옛 숲과학동아 l199807
- 한 사내아이가 나와서 이를 데려다 키웠다. 박만한 알에서 태어났기에 성을 박이라 하고 빛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이름을 혁거세라 했으며 신라의 시조, 경주 박씨의 시조가 됐다는 내용이 그것이다.신라의 건국 시조인 박씨나 경주 김씨 시조의 탄생과 관련된 이 두 신화는 나무를 매개로 ... ...
- 침실과학동아 l199806
- 나오는 자외선이 유리관 안쪽에 칠해져 있는 형광물질에 닿으면 가시광선이 돼 밝은 빛을 낸다.대전된 먼지를 이용하는 공기청정기콘크리트 벽으로 된 밀폐된 건물에서는 자연 환기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계속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야 한다. 호흡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를 계속 ... ...
- 맛과 냄새의 조화과학동아 l199806
- 있어 각각의 맛물질과 결합하면서 신경신호를 발생시켜 대뇌에서 맛을 인식하도록 한다.빛에 빨강, 초록, 파랑의 3원색이 있듯이 맛에도 기본이 되는 원미(元味)라는 것이 존재한다. 어떤 맛이 원미가 되기 위해서는 딴 원미의 것과는 다른 맛수용체 부위가 존재해야 하고, 그 맛의 질이 딴 원미와 ... ...
- 과학의 역사 바꿀 미스터리 입자과학동아 l199806
- 힉스, 그리고 입자는 아니지만 입자처럼 행동하는 솔리톤을 집중 조명했다. 이들은 빛보다 빠른 물질, 중력의 정체, 질량의 속성 등과 같은 자연계의 수수께끼를 풀 열쇠들이다 ... ...
- 1. 타키온과학동아 l199806
- 빠르게 신호를 보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지만, 전자기파의 그룹 속도(파속의 속도)가 빛보다 빠른 것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치아오와 마찬가지로 스타인버그도 "모차르트 40번 교향곡은 점차 변하는 파동이기 때문에 신호로 볼 수 없다"고 님츠를 반박했다 ... ...
- 4. 쿼크와 힉스과학동아 l199806
- 색이 된다. 양성자를 이루는 3개의 쿼크들은 각각 빨강, 파랑, 녹색을 띠고 있다. 빛의 삼원색을 합치면 무색투명해지는 것과 같이 이들을 합치면 무색투명해진다.더 신비로운 것은 쿼크들이 각자의 색을 가지고 홀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중입자 또는 중간자 내부에서 색이 없는 ... ...
이전321322323324325326327328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