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김치콘’은 보안과 해킹을 주제로 하는 학회로 2015년 시작됐다. 올해는 7월 1~2일 대전 KAIST에서 열렸다. 이름부터 ‘B급’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 학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참가자들이 목에 걸고 있는 배지다. 기판에 디스플레이 화면과 조이스틱까지 달린 배지로, 게임도 하고 공지사항도 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협력이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7월 19일(현지시간)오후에 브라질에 입성했다. 개회식 전에 예선경기가 있기 때문에 다른 종목선수들보다 조금 먼저 도착해 적응훈련을 시작했다.]아나운서 구그미 안녕하세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이모저모’의 아나운서 구그미입니다. 오늘은 첫 시간으로 원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깨끗한 물을 얻기 힘든 사람들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하려면? 먼저 기술 발전을 이룬 나라가 노하우를 전해주면 어떨까.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공동 주최한 ‘한-UNDP 협력사업’이 시작됐다. 6월 29일과 30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세트 게임 카드에는 모양과 색깔, 개수, 내부, 이렇게 4가지 속성이 있습니다. 속성에는 다시 세 가지 종류가 있고요. 예를 들어 모양에는 다이아몬드, 타원, 눈썹 모양, 색깔에는 빨강, 초록, 보라가 있지요. 즉 세트는 4가지 속성이 각각 3종류 중 하나인 34=81장의 서로 다른 카드로 하는 게임입니다.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학교를 들어서자마자 원자력 발전소에서나 볼 법한 방사선 마크, 탄소와 수소 화합물 벤젠, 기계의 필수요소 톱니바퀴가 신입생 지우에게 달려든다. 각각은 원자력공학과, 화학과, 그리고 기계과를 나타내는 상징이다. 이처럼 첫 화부터 이공계를 나타내는 상징물이 대거 등장하며 이공계 개그 만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쉽고 재밌게 코딩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마인크래프트로는 코딩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에서 이용하는 기술이 코딩과 비슷하기 때문이다.2009년 스웨덴의 프로그래머 마르쿠스 페르손은 농사를 짓거나 채광을 해 자원을 모아 블록으로 건물을 짓고 주변에 있는 몬스터로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수많은 파충류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정부와 단체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가는 종류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기자가 겪어본 최고의 피서는 대학생 시절의 여름 방학이다. 방학을 맞아 선풍기를 켜고 나무늘보처럼 아무것도 안한다면, 그곳이 천국이다. 그런데 최고의 피서를 반납하고 매일 학교로 향하는 학생들이 있다. 좋은 시절을 포기하고, 연구와 실험으로 더위를 이기는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황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산업공학과는 다른 공학과에 비해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장우진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기자에게 “산업공학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라고 소개했다. 바이올리니스트나 첼리스트는 배울 것이 명확하지만, 지휘자는 정확하게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사람들이 잘 모 ... ...
이전321322323324325326327328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