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조립되는 ‘나노 바둑돌’
과학동아
l
2014.07.07
금 입자가 달라붙은 방울 표면은 그 특성이 바뀌어 볼록렌즈 형태의 모양이 됐다.
김
교수는 “1~2년이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새로운 전기적, 광학적 기능 및 구조를 지니는 3차원 형태의 마이크로 입자의 개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그래핀 차곡 차곡 쌓은 ‘이층 그래핀’
과학동아
l
2014.07.06
연구팀은 육각 질화붕소 판에서 매우 순수한 이층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김
교수팀이 관찰한 이층 그래핀의 성질도 발견했다. 또 미국 하버드대와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이층 그래핀의 분수양자홀효과로 생긴 준입자의 경우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 ...
생물의 진화에 광물이 미친 영향은…
과학동아
l
2014.07.06
구별하여 참종개와 같이 익수키미아(Iksookimia)속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이 책은 그런
김
교수의 물고기 연구 이야기다. 물고기와 인간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물고기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다른 생명체와 더불어 사는 법을 ... ...
네덜란드가 반한 한국 연구로 기술
과학동아
l
2014.07.04
4억~5억 유로(약 5500억~6900억 원) 규모의 대형 연구로 건설 사업을 발주할 예정이다.
김
종경 원자력연구원장은 “기술경쟁에서는 자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력의 ‘양(量)’ 경쟁에서는 외국 업체에 한참 뒤처졌다”면서 “전문인력 확충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 ...
술, 담배, 스마트폰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4.07.02
30분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뇌 과학을 통한 중독의 이해’라는 주제로 강연을 연다.
김
교수는 신경세포와 이들이 이루는 뇌 회로의 기능을 설명하고, 알코올과 스마트폰 등에 중독되면 우리 뇌가 어떻게 바뀌는지 설명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나희정 서울 중평초교 교사는 ‘힘의 평형 ... ...
우주선 연료 ‘액체수소’ 저장 기술, 우리 손으로 개발
과학동아
l
2014.07.01
경우 한 번 충전으로 2배 이상 갈 수 있는 것 또한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이 기술을 상용화 하기 위한 벤처기업 ‘하이리움’을 설립했으며 관련 기술을 국내 산업계에 보급할 계획이다. KIST는 앞으로 추진할 계약내용에 따라 하이리움 측의 영업이익 중 일정부분을 로열티로 ... ...
‘신약의 조건’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27
암세포 자체를 죽이는 항암제는 많이 나왔지만 암 전이를 막는 항암제는 없었다.
김
단장은 “암 치사율이 높은 이유는 전이가 일어나기 때문인데 아직 이를 억제하는 신약이 전혀 개발되지 않은 만큼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신약의 조건’ 갖춘 후보물질 압축이 핵심 지금까지 연구단이 ... ...
태양계 최고의 난봉꾼, 목성(Jupiter)
동아사이언스
l
2014.06.25
그리고 송유근 제5편 오호~ 취한다, 5월의 밤하늘 ◈ 책임프로듀서
김
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donga.com 이해석 shipda@donga.com ... ...
헉! N극과 S극이 막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6.24
이 성분 중 철의 일부를 알루미늄으로 바꿔 넣은 결과 이런 특성을 얻었다.
김
교수는 “이번에 합성된 물질을 이용하면 전류가 아닌 전압으로 자화를 변화시킬 수 있어 초저전력 고효율 자기소자를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우주용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유산균을 모두 제거해 영양학적 측면에서는 지상의
김
치보다 떨어진다. 송 연구원은 “단 한 마리의 유산균만 있어도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 때문에 포장한 캔이 폭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60초 만에 뜨거운 에스프레소를 내려주는 우주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