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힘을 주고 몸을 반대로 기울여 균형을 잡는 것과 같은 방법이다. 하지만 진동의 강도와
방향
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면 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지반과 건물이 맞닿는 부분에 고무와 철판을 겹쳐 쌓은 구조물을 삽입하는 방법도 있다. 고무는 유연성이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에디슨의 직류 전기(항상 일정한
방향
으로 흐르는 전류)보다 뛰어난 교류 전기(크기와
방향
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를 개발했다. 그러나 에디슨은 테슬라의 교류 전기가 사람이나 동물을 감전시켜 죽인다는 등 교류 전기가 위험하다는 이야기를 널리 퍼뜨렸다.테슬라는 마르코니와 에디슨 등의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진학할 목표를 세우고 더욱 열심이었다.“중학교 3학년 때 만난 물상선생님이 제 삶의
방향
을 바꿔놓았죠. 과학이 예술 이상으로 아름다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주변의 자연 현상을 우아한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게 놀랍기도 하고 그런 패턴을 찾아낸 과학자들이 위대해 보였다.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때 물을 당기는 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항력이 생긴다.문 박사는 “항력이 손의 진행
방향
에 수직으로 생긴 양력(손의 모양에서 오는 힘)과 합쳐진 힘이 바로 추진력”이라며 “펠프스처럼 손이 크면 항력과 양력도 커져 추진력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물론 손으로 물을 감싸는 동작도 중요하다 ... ...
독일 산업 발달의 진원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있다.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거의 무상으로 이뤄졌던 대학교육이 등록금을 받는
방향
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질 높은 교육을 위해 더욱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우수했던 기초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경영, 경제, 심리학 같은 사회과학 학문과 접목해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성립한다. (라) 점성이 없는 이상유체는 운동 중에도 접선변형력이 항상 0이다. 흐르는
방향
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어떤 물체도 흐름에 밀려 떠내려가지 않는다. 이는 점성을 무시해 실제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생각의 편의를 위해 가상적으로 만든 유체를 완전유체라고 하며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왼쪽과 오른쪽 물질이 일대일로 합성되는 것과 달리 자연계에는 광학이성질체 중 한
방향
물질이 압도적으로 존재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를 밝혀낸다면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것이다. 3) 자물쇠에 들어맞는 열쇠는 하나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촉매 반응이 진행된다. 활성 부위에 기질이 접근하면 ... ...
반짝반짝~ 별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정답게 머리를 맞대고 있어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꼬리는 각각 시계
방향
과 반시계
방향
으로 구부러져 하트 모양을 그리고 있어요. 우리 눈에는 무척 가까운 사이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두 은하는 서로 1만 60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답니다. 한 마리 나비처럼 NGC 624030만 년 전부터 합쳐지기 시작한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원자와 입자의 가장 근본적인 질서를 뒤흔들었다. ‘유령’이나 할 수 있는, 동시에 두
방향
으로 움직이기는 이 녀석의 가장 큰 장기였다. 도대체 왜? 1920년대 제1차 양자혁명은 이렇게 시작됐다.그런데 그게 끝이 아니었다. 1980년대부터 서서히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1990년대 마치 SF영화에서나 ... ...
매혹적인 미인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것이 기술이라면 기술이겠지’라고 묘사한다.그래서 중국이나 일본의 종이는 섬유가 한
방향
으로만 늘어선 반면 한지는 섬유가 직각으로 엇갈린 구조다. 현미경으로 한지를 관찰하면 한눈에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지는 질기면서도 물감의 번짐이 사방으로 일정하다. 어쩌면 이런 특징이 신윤복의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