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3월 ‘테러방지법’이 통과되면서, 정부가 테러위험인물에 한해 통신이용 등에 대한 정보 수집을 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해졌다. 누리꾼들은 ‘테러방지법으로 국민의 자유가 억압된다’, ‘사적인 공간인 메신저에서도 말을 가려 해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정부의 감청 남용에 대해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의 실험을 위해 보안 업체 ‘KTB솔루션’을 찾은 지 30분 즈음 지났을 때였다. 실험을 진행하던 화이트해커 그룹 ‘락다운’ 박재일 부대표의 노트북에 기자의 사진이 등장했다.락다운은 스마트폰 해킹에 대한 보안 기술을 연구하는 해커들의 모임이다. 자세히 보니 사진을 찍은 각도가 박 부대표의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뇌졸중 치료제를 필로폰 중독 청소년의 뇌손상 치료에 적용해 보는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최근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등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뛰어넘어 화학물질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따르고 있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는 인간의 지위에 대한 이런 인식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년)는 인간의 순진한 자기애가 세 번의 중대한 모욕을 당했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 모욕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두 번째 모욕은 다윈의 ... ...
- [수학동아클리닉] 신체의 선으로 기본도형 표현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 공부는 보통 의자에 앉아 수식으로 가득한 교과서와 문제집을 보며 한다. 필자는 이처럼 따분한 수학 대신 몸을 움직이며 도형을 표현해보는 활동적인 수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도형의 기본인 점, 선, 면에서 시작해 각의 성질,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평행선의 성질 등에 대해 학습한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로봇공학, 인공지능, IT 등이 융합하면서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인간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신체는 기술적 산물을 삽입할 ‘플랫폼’으로 간주된다. 인공 망막과 전자 의수, 인공 장기에 이르기까지 전 신체는 설계 가능한 대상으로 변했다. 질병과 장애, 노화에 대한 우리의 대처는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공 심장펌프와 압축공기 등 기계 장치를 이용한 인공심장은 50여 년 전부터 개발이 진행돼 왔다. 초기 인공심장은 피부를 관통하는 선을 통해 몸 밖의 외부기기와 연결해야만 했다. 인체 내부에 완전히 이식할 수 있는 3세대 인공심장은 미국 ‘아비오메드’사에서 개발한 ‘아비오코(AbioCor)’가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겁니다. 이것이 느껴지면 ‘벅벅’ 긁거나 문지르고 싶어지죠.가려움은 연구가 많이 진행됐습니다. 아토피피부염, 두드러기, 피부 건선 등 관련된 피부질환이 많고, 하나같이 견디기 어렵기 때문이죠. 과거엔 가려움증이 통각의 일종이라고 여겨졌습니다. 통각의 세기가 약하면 가려움이 발생한다고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항상 둥근 유리 그릇에 M&M을 담아 먹었던 폴 채이킨 교수는 타원형의 M&M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답니다.연구팀이 M&M이 가득 들어 있는 그릇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관찰한 결과, 초코볼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71%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코볼이 길쭉한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잰 압력 데이터와 가장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는 센서를 파악하는 ‘군집 분석★’을 진행했다. 스키에서는 무게중심이 중요한데, 이는 발에 부착한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알 수 있다. 그런데 스키 선수들은 각자 발의 크기에 딱 맞게 스키를 쓰기 때문에 센서를 달기 어렵다. 그래서 발에 붙인 ... ...
이전3223233243253263273283293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