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는 “하고 싶은 것을 하라”는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으며 ‘과학교육이 나의 갈
길
’이라고 진로를 굳혔다.박 교수는 1992년부터 전남대에서 물리교육을 강의하다 ‘학생들이 물리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험으로 느끼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실험 장치들을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여기만 통과하면 이제 결승점이 보일 거야. 지금 보이는
길
은 신기루야. 하나만 진짜
길
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짜지. 다음 푯말에는 사막에 관한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 설명이 잘못된 곳으로 가면 된다.” 어떤 낙타가 빠를까?찌는 듯한 더위와 험난한 지형을 헤치고 나오느라 썰렁 홈즈도 많이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발전한다. 건물과 도로로 복잡한 도심속 공간을 입체감 있게 보여줘 훨씬 손쉽게
길
을 찾을 수 있다. 원격 업무 시스템이 발전해 집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집에서 화상회의와 전자결재로 얼마든지 회사일을 할 수 있다.가벼운 병은 병원에 갈 필요 없이 화상 전화로 의사와 면담해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빨판이 있는 것이 흡충, 마디마디 나눠진 것이 조충이다. 일반적으로 조충이 가장
길
다. 말라리아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원충도 있다. 진드기처럼 몸 바깥에 기생하는 생물도 넓은 의미에서 기생충이다. 모두를 아울러 기생생물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695명이 죽고 2027명이 다쳤다.지구에서 가장 넓은 폭포인 남아메리카 이과수 폭포는
길
이가 약 1320km나 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는 유량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2배나 돼 귀가 찢어지는 엄청난 소리를 낸다. 4km에 걸쳐 초승달 형태로 늘어서 있는 절벽은 275개의 크고 작은 폭포로 이뤄져 있다.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더욱 소리를 잘 모을 수 있도록 돼있다.외이도는 한쪽이 막힌 공명기와 같아서 외이도
길
이와 모양에 따라 일정 주파수(대개 2.5kHz 부근)를 증폭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빈 콜라병에 입을 대고 불면 낮은 음이 크게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내이는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다. 달팽이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M램을 소개한다.상전이 메모리(P램, Phase Change)작동원리 : 전류가 흘러 온도차이가 생
길
때 물질에 상변화(Phase Change)가 일어나 결정이나 비정질 상태로 변한다. 이 때 저항이 낮은 결정상태를 0으로(a), 저항이 높은 비정질 상태를 1로(b) 인식해 데이터를 저장.장점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큼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업가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다섯 동생들은 모두 상인으로 성공했는데 하비만 학문의
길
로 들어섰다. 16세에 케임브리지의 곤빌앤키스 칼리지에 입학해 교양과 의학을 공부했고, 이후 이탈리아의 파도바대로 유학을 가 학업을 이어갔다. 그곳에서 유명한 해부학자 파브리치우스의 가르침을 받아 16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시광선의 파장이 0.3~0.7μm 정도니까 테라헤르츠파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수백배 더
길
다고 보면 된다.그간 테라헤르츠파는 연구하는 사람의 전공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가장 잘 알려진 이름은 ‘원적외선’이다. 원적외선이란 명칭은 광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했는데,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호를 전달해주는 축색돌기가 그것이다.축색돌기는 신경세포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길
수도 있는데 경우에 따라 1m를 넘는 것도 있다. 신경세포는 우리 몸에서 단연 가장 긴 세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긴 세포가 한번 태어나면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포분열을 하지 않고 평생을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