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게 됐다. 장 부장은 “장애
물
을 넘어야겠다는 판단을 내리면 바퀴가 힘차게 굴러 장애
물
에 올라탄 뒤 센서를 통해 넘어갈지 말지를 판단한다”며 “복잡한 알고리즘,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뒷받침 됐기에 가능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아이클레보 아르테는 20mm 높이의 문턱을 넘을 수 있어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따라 적응하기 좋은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다 속 온도나 염도 상태를 알면 어떤
물
고기가 언제 어디에 있을지 알 수 있다. 전복이나 어패류 가두리 양식을 하는 어민에게는 재앙이라 할 수 있는 냉수괴의 접근을 예측해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 바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 ...
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산소도, 소금도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방법과 그 양에 따라 독이 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
질이 독이 될 수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그 중 가장 강한 독은 무엇일까. 그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이 독은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이번 특집에 이 모든 궁금증에 대한 답을 담았다. 지금부터 ‘독한 독’의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
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이아몬드 반지는 사랑의 증표였지만 최근에는 더 비싸고 품격이 높은 다이아몬드 예
물
을 선호한다. 그러나 본능적인 소유욕을 부추기는 다이아몬드에 얽혀 있는 과학적 명제는 오랜 세월 동안 일관되게 인간의 탐욕 대상이었던 만큼 분명하다. 그 명제는 바로 1000℃가 넘게 열을 가하면 시커먼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둡고 깊은 바다에서 다가오는 향유고래를 보려면 고래가 움직일 때 주변에 작은 유기
물
이 교란되면서 나는 빛을 보면 된다. 연구 결과 농구공 크기의 눈은 120m 이상 떨어져 있는 고래가 만든 반짝임도 볼 수 있었다. 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면 선사시대 어룡의 큰 눈도 진화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물
방울의 모양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졌다. 절연체를 씌워 전자의 이동을 막았기 때문에
물
이 전기분해될 걱정도 없다. ➌ 일렉트로웨팅의 생활 속 침투!① 줌인 줌아웃이 가능한 휴대 전화휴대전화의 카메라는 줌기능이 없다. (…중략…) 액체렌즈를 사용하면 이런 불편함이 사라진다. 렌즈의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즐기는 독자라면 누구나 흥미를 가지며 기사를 읽어보려고 할 것이다.
물
론 건축
물
설계에 따른 음악 파동의 움직임과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과학 기사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과학 원리를 먼저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보다 독자의 시각에서 공감대를 이끄는 방향으로 기사 구성을 하는 게 좋다. 특히 10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들어 냈어! 결국 단 걸 너무너무 좋아하고 신비한 단맛도 만들어 낸 내가 달달공장을
물
려 받았지. 그런데 이럴 수가! 신비한 단맛을 만들어 내는 동안 달콤한 음식들을 너무 많이 먹었나봐. 살이 너무 많이 쪄서 내가 개발한 달콤한 자동차에 탈 수 없는 거 있지? 게다가 이도 다 썩어서 달콤한 ... ...
버릴 게 하나 없는 음식 찌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또 음식
물
찌꺼기에 시멘트를 섞어 보도블럭 같은 건축자재를 만들기도 해. 같은 음식
물
찌꺼기라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니, 정말 놀랍지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중심을 잃지 않고 계속 항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타이타닉 호는 뱃머리부터
물
이 차오르면서 무게중심과 부심이 한꺼번에 흐트러졌다. 타이타닉 호는 점점 한쪽 끝이 하늘로 솟아 올랐고, 그 부분에 중력이 과하게 작용해 결국 두 조각이 난 채로 침몰하고 말았다.많은 이들의 관심과 기대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