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현대 우주생물학은 한술 더 떠 우리와 빗스한 다른 생명체까지 찾으려고 한다. 그래도
인간
이 위대한 건 이렇게 끊임없이 지식을 넓혀갈 수 있는 원동력인 호기심이 있기 때문이다.물, 기적의 물질윤실 지음 | 저나과학사 | 256쪽 | 1만 1000원나라님과 정치인은 예부터 ‘치산치수(治山治水)’를 잘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여름이 시작되면 연안의 밤바다는 오징어잡이배들이 밝힌 집어등으로 불야성을 이룬다.
인간
과 오징어의 쫓고 쫓기는 한판 전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집어등 불빛은 그 자체가 오징어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고, 불빛을 보고 모여든 치어나 갑각류 새끼들도 오징어를 불러 모으는 데 도움을 준다 ... ...
자동차 안전장치에 숨겨진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명은
인간
활동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빠르고 편리하며 접근성이 좋은 자동차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고 불릴 정도다. 더 빨리, 더 강하게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 내는 것이 자동차를 생산하는 사람들의 꿈. 하지만 사고 위험이 늘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보호 장비 기술 또한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미국과 구소련이었다. 이념 대결을 통한 국가 역량의 결집이 없었다면 1960년대에 달에
인간
이 발을 딛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다.하지만 최근 들어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유럽은 물론 인도와 일본이 새 강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과학기술력과 경제력의 측면에서 국제 사회가 ... ...
1000만 살 먹은 웃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람과 가장 다른 웃음소리를 냈다.로사 교수는 “웃음소리가 변해온 패턴이
인간
과 영장류가 갈라진 진화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의미”라며“감정을 표현하는 현상(웃음)의 기원을 계통적으로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물론 사람과 영장류의 웃음소리에는 분명한 차이도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 발견을 보고하면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 즉 ‘플로레스 섬의
인간
’이란 뜻의 학명을 붙여줬다. 이 발견은 고인류학 분야에서 지난 반세기 동안 최대의 사건으로 불리기도 했다.섬에 고립돼 몸 작아져발굴을 이끈 호주 뉴잉글랜드대 고고학·고인류학과 피터 브라운 교수는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고등부 대상) - 다윈이 말하는 "사랑하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타적 행위를 취하여 안정된 생존 및 번식이라는 이기적인 목적을 달성하였다.
인간
사회에서의 숭고한 헌신과 봉사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철로에 몸을 던진 고(故) 김수현 씨 … (중략) … 등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그들이 스스로 획득한 정보를 통한 ‘행복함’, 즉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아쉽게도 뱀장어의 미래는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다른 수많은 생물에게도 그렇듯
인간
의 간섭이 자연스러운 생활사를 망가뜨려 놓았기 때문이다. 뱀장어 양식은 치어를 잡아 기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실뱀장어가 몰려오는 시기가 되면 어선들이 하나둘 강어귀로 모여들어 최후의 한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번 더 생각하고 기도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이것이 몸에 베이면 실수도 줄어들고,
인간
관계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 삶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발견했다. 그러나 이미 수억 년 전에 계산기 없이 이런 것을 발견한 벌들에 비해
인간
의 업적은 미미해 보인다.그러면 3차원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벽돌과 같은 정육면체인가. 아니면 마름모로 이뤄진 12면체인가. 아니면 정사각형 6개와 정육각형 8개로 된 14면체인가.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