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활용한 예가 공항에 있는 출입국 관리 얼굴인식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이 방식의 가장 큰 문제는 실제 환경에서 인식률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닮은 사람끼리 클러스터가 겹치거나, 얼굴 표정, 각도, 조명, 화장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윤 책임연구원은 “실험실에서는 얼굴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949년 BBC 라디오에 출연해 “이 이론은 우주의 모든 물질이 특정 시간에 단 한 번의 큰 폭발(big bang)로 형성됐다는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고 폄하한 데서 나왔다. 빅뱅 우주론의 지지자였던 호킹은 초록을 통해 논문에서 다룰 네 가지 주제를 언급했다. 첫 번째는 정상상태 우주론을 주장하는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살 수 있는 길이 생겼다. 이제는 HIV 감염을 예방하는 시대가 됐다. 에이즈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HIV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즉 에이즈를 동일시하는 데서 온다. HIV는 몸 안에 들어와 면역세포를 파괴하는 바이러스다. 감염 초기 면역체계가 파괴되지 않아 별다른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했다. 원자로 안전은 핵분열 연쇄반응 속도 제어가 핵심얼핏 생각하면 에너지가 큰 중성자가 핵분열 반응을 잘 일으킬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비실비실’한 중성자가 핵과 오래 반응해 분열 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수식으로 나타내자면, 핵분열 반응이 일어날 확률은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년 이상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캐릭터가 있으면 좋겠어요. 1950년대 나온 아톰은 지금도 큰 사랑을 받고 있어 장난감 가게에서 쉽게 살 수 있거든요. 하지만 국산 캐릭터인 둘리나 로봇 태권 V를 장난감 가게에서 볼 수는 없잖아요. 꼭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장난감 캐릭터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않았던 생물.또 식물 319종 중에는 습지에서만 사는 희귀식물 ‘끈끈이 주걱’과 ‘큰방울새란’이 들어 있었어요. 멸종위기종인 파충류‘황구렁이’와 포유류 ‘삵’, 천연기념물 조류인 ‘팔색조’도 이번 탐사를 통해 선운산에 사는 것이 확인됐답니다.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닌자거북’ 팀의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시작이었지요.사람들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점점 달고 큰 수박을 선택해 길러왔고, 그 결과 우리는 지금의 커다랗고 달달한 수박을 먹을 수 있게 된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파악한다. 이때 개의 평상시 활동을 촬영한 영상은 개의 공격성을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동물은 행동이 곧 언어이기 때문이다(개가 공격성을 보이는 장면을 촬영하겠다고 공격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보호자는 개의 특징과 일상생활, 문제행동 등에 대한 약 15장짜리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일단 무의도 등산로에 큰 바위가 많지 않았다. 주말이면 등산객들로 북적인다고 하는데, 큰 바위 주변에 쓰레기가 많은 걸로 봐서 이미 사람 손을 많이 타서 개미가 잘 보이지 않는 듯했다. 오후 2시, 세찬 비가 내리기 시작해 동 씨와의 겨울철 개미 찾기는 막을 내렸다. “관심 갖는 건 좋지만, 생명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특히 현실에 기초한 길이나 넓이, 부피 같은 개념을 제대로 정의하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불만이었다. 그는 ‘측도 이론’에 흥미를 느꼈는데, 이 이론은 수십 년 전에 ‘르베그측도와 적분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완성돼 있었다. 하지만 그로텐디크는 그 사실을 모른 채 혼자 힘으로 이를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