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결과"(으)로 총 3,5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해바다에 명태가 사라졌다!! 2014 기후변화탐사대캠프 생생취재기기사 l20140923
- 오늘을 위해 우리팀은 지금까지 탐사한 것을 보고서로 만들고, 그 보고서를 발표자료로 열심히 만들었다. 발표할 때는 떨렸다. 탐사결과들을 발표하고 끝날 때는 연극도 했다. 우리팀 3명은 가장 대표적인 바다생물을 연기했다. 조장형은 동해바다에서 완전히 씨가 말라버린 명태를, 누나는 난류성어류지만 요즘에 많이 나타나지 않는 오징어를, 나는 난류성어 ...
- 스마트폰은 초등학생에게 필요할까? 스마트폰이 초등학생에게 필요한지 토론회를 열어보자기사 l20140921
- 보다도 더 전자파가 많이 나온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 전자파는 아주 치명적입니다. 2012년 5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인에 비해 초등학생이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 흡수율이 높다고 나왔습니다. 그런데 그 전자파는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바로 스마트폰일 것입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휴대폰의 전자파를 발암가능 물질로 ...
- 오늘아침 과자로 장난을 쳐봤습니다.아빠와 함께 누가 더잘만드나 를했습니다.그결과 아무도 승포스팅 l20140921
- 오늘아침 과자로 장난을 쳐봤습니다.아빠와 함께 누가 더잘만드나 를했습니다.그결과 아무도 승부가나지 않았습니다. ...
- 기자활동 총 ds누적결과!!! 헉~정말 많이 모였네요~ 이게 정말 누적이 아니라 지금 내포스팅 l20140918
- 기자활동 총 ds누적결과!!! 헉~정말 많이 모였네요~ 이게 정말 누적이 아니라 지금 내 ds였으면...ㅠ.ㅠ ...
- 사라진 한국토종 여우 등장 멸종위기 종 1급 토종여우 다시 살아날까?기사 l20140913
- 국립공원에서는 위치 추적기를 붙였는데 팬션에서 본 여우는 위치추적기가 없었지요. 그래서 서울대 교수는 연구를 했지요. 연구 결과, 팬션과 비무장지대(DMZ)는 10Km로 참 가깝습니다. 비무장지대에는 멸종위기종 동물이 많이 사는데 거기서 넘어온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정말 토종여우가 비무장지대에서 넘어온 것이라면 토종여우는 완전히 사라진 것이 ...
- 뉴턴, 아인슈타인과 함께 보낸 한달 국립과천과학관 스토리텔링대회에 참여하게 된 이야기(ing)기사 l20140903
- 당연히 제 것도 있답니다. 내년에도 열리게 되면 도전하는 친구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결선에서 열심히 노력하고, 좋은 결과를 받아서 우리 기자단의 명예를 드높일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하지만. 도전하고 탐구하는 건 그 과정이 정말 제일 재밌다는 걸 이번에 깨달았어요. 제가 오늘 느낀 뿌듯함 같은 것? 그것이 과학자들이 연구를 계속 ...
- 동물 실험 꼭 필요할까요?기사 l20140827
- 동등한 가치의 결과를 내는 대안법이 있는 한에서 동물실험은 금지되어 있다고 합니다. 해부를 통한 과학적 결과뿐 아니라 동등한 결과를 내는 대체법이 이미 개발되어 있으므로, 동물해부실습은 당연히 금지대상 입니다. 독일의 경우 수의학, 의학, 자연과학을 전공한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에 한해 동물실험 연구원의 자격을 부여하 ...
- 우주에 대한 진실은??? [취재여행]항공우주 연구원기사 l20140815
- 위성기술은 가장 먼저 만든 위성 아리랑 1호부터 시작해서 아리랑 3-A호를 만들기까지의 20년이란 시간동안 발전을 해왔다.그 결과 지금의 우리나라는 이스라엘 ,미국과 함께 위성강대국이 되었다. 우리나라 위성에는 무엇이 있을까?1. 아리랑 1호 ;지금으로 부터 20년전 미국의 TRW사에서 위성을 수입해서 뜯어보면서 알아낸 기술로 만든 위성. 우 ...
- 어디에나 존재하는 방사선 방사선, 잘 사용하면 유용해요.기사 l20140810
- 피복 단위, 1 Sv=1000mSv(밀리시버트) 한만영기자, 오윤상기자와 함께 동아사이언스 건물 곳곳에서 방사선량을 측정해 보았는데요. 그 결과, 강의실 탁자 위는 0.075mSv, 화장실 타일은 0.094mSv, 옥상 천문대 앞은 0.088mSv, 휴대폰은 0.08mSv, 오윤상기자의 몸에서는 0.062mSv 의 방사선량이 측정되었어요. 화 ...
- 지구사랑 탐사대 심화교육기사 l20140801
- 향했다. 실험실에서는 개구리의 변색 실험을 했다. 변색실험을 한 이유는 아직 개구리의 변색이 자연에서 어떤 영향으로 되는지 연구 결과가 없어서 하고 있다고 하셨다. 실험실에는 계란판도 많았다. 귀뚜라미 사육할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셨다.실험실을 다 보고 밥을 먹으러 갔다. 밥은 돈가스였다. 밥을 먹고 이번에는 이화여대 자연사 박물관을 갔다.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