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6,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과학동아
l
200409
수신하는 전화 음성분석합성부호화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소리를 분석하고 특징이 되는
부분
만을 송신함으로써 같은 시간에 일반전화의 4배를 활용할 수 있다또한 도청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양과 변수를 표현하는 데 이산형(離散型)의 숫자를 사용하는 컴퓨터 계수형 계산기 · 숫자식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발견된 것으로 약 37억년 전 것이다. 달 암석의 경우 아폴로 11호가 가져온 대
부분
의 암석은 나이가 대략 36억년이었지만, 어둡고 낮은 분지의 암석은 32억년, 밝고 울퉁불퉁한 고지대는 46억년까지 연대가 측정됐다. 달에서 가장 초기의 암석이 지구에서는 가장 오래된 암석과 연대가 비슷한 것이다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9
단장은 “4세대 원자로라고 해서 전혀 없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존재하며
부분
적으로 가능한 기술을 오랜 기간동안 안전하게 쓸 수 있도록 개선하고 안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1세대 원자로가 2세대, 3세대, 3세대 플러스로 발전했듯 난관은 있겠지만 4세대 원자로도 20-30년 뒤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09
두드러진 영역에 위치한 가장 멋지고 돋보이는 대상”이라고 찬사했다. 이런 평가에는 대
부분
의 아마추어들도 동의한다.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소구경망원경에서 가장 돋보이는 대상으로 꼽혀왔다. 때문에 공개관측회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단골메뉴다.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을 먼저 맨눈으로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08
반사한 산란광과 거울에 반사된 평행광이 모양을 형성한다. 이렇게 두빛이 겹쳐진
부분
에서 발생한 간섭무늬를 이용한 것이 바로 홀로그램(hologram)이다. 이를 이용해 참조광으로 사용한 평행광을 다시 같은 방향에서 비춰주면 피사체가 있던 위치에 동일한 3차원 상이 맺힌다.실제 이런 현상을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08
지난해 보다 한층 개량된 ‘페스카를로 주드’ 모델이 참가했다.특히 주목을 끄는
부분
이 개량된 엔진. 3.2리터 6기통 트윈 터보엔진을 대폭 개량한 5리터 10기통 주드 엔진이 새로 채택됐다. 이 엔진에는 민첩한 기동력에 내구성까지 갖춘 첨단 설계와 복합 소재가 사용됐다. 이밖에 공기역학적인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08
넓어지겠지만, 정말로 시원한 진짜 그늘은 오히려 줄어든다. 오직 2개의 그림자가 겹치는
부분
에서만 2개의 태양으로부터 쏟아지는 햇빛을 온전히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알록달록한 무지개를 하나 더 볼 수 있다는 것은 유쾌한 일이다. 비갠 후 하늘에선 2개의 무지개가 동서로 하나씩 떠오른다.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08
있다. 펠리칸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
은 북쪽 영역이며 그 동쪽 북아메리카성운과의 경계
부분
에 암흑성운이 가로지르고 있다. 남쪽에는 3개의 작은 성운 영역이 넓게 퍼져 있으나 매우 어둡다.그렇다면 드넓은 밤하늘에서 이들 성운을 어떻게 찾아갈 수 있을까? 길잡이 백조자리의 도움을 받으면 된다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08
대한 증명은 프랑스인 카시니(그림)의 관측으로 확정됐다. 1675년 카시니는 고리가 크게 그
부분
으로 나눠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카시니간극이 그것.따라서 이번 토성탐사선은 토성에 얽힌 과학자들의 부활인 셈이다. 그런데 왜 갈릴레오가 빠졌을까? 갈릴레오는 목성의 주요 위성을 발견했던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08
것.그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기 때문에 한국의 노벨상 수상 가능성과 그가 이
부분
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도 쏟아졌다. 그는 자신이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었던 것은 “모험적으로 연구를 수행했기 때문”이며 따라서 “KAIST 내에도 모험적 연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