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편모모터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모기침이 수μm의 굵기인데도 피부를 찌를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 이는 모기침이 감지
신경
망을 피해 충분히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소기기가 이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져 피부의 땀구멍속으로 들어가도 우리는 전혀 느끼지 못하고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물론 미소기기는 몸속에서 자기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경우엔 두뼈 사이로 흐른다. 융합되기 전의 어린 오리너구리의 뼈를 관찰하면 3차
신경
이 뼈들 사이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매킨타이어씨는 오리너구리가 파충류라고 믿는다.그러나 논쟁은 계속될 것이다.Science CommentaryIn 1800, a stuffed animal arrived in England from the newly discove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쾌적함을 제공하여 주는 인체생리적 요인들이 어떤 것인가를 조사한 결과 인간의
신경
계통 가운데 뇌파 피부저항 및 눈근육의 피로도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순환기계통의 심장박동상태 혈압 혈류속도와 호흡기계통의 호흡속도 피부의 습기분비상태 등이 인간의 쾌적감과 매우 밀접한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직후 수십초 이내에 방출되는데 폭풍의 중심부근에서 2천라드 이상 쏘인 사람은 중추
신경
이 파괴돼 2,3일 이내에 사망하고, 약 5㎞ 밖에 있었던 사람이면 4백~5백라드를 쏘여 일주일 안에 사망한다. 이보다 더 바깥에 있었을지라도 수십~4백라드의 방사능을 받게 된다. 그러면 구토 빈혈 탈수증 탈진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재단은 라스커상이 의학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 시상대상 분야의 선정에 더 많은
신경
을 쓰기 시작 했다.● 헬무트 호르텐 연구상(Helmut Horterr Research Award)미국에서 발행하는 세계적인 과학종합주간지 '사이언스' 1990년 6월 30일자에 실린 광고를 보고 놀라지 않은 과학자는 아마 한 사람도 ... ...
미국 마약중독 신생아 급증 적신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구팀은 태반이 마약에 노출되면 조산(早產)이나 미숙아출산의 원인이 되며 태아의
신경
이나 순환기 계통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쥐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보면 자궁에서부터 마약에 노출됐던 쥐는 태어난 이후 학습능력이 정상적인 동료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그러나 약성분의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의자 등이 있으면 좋다. 인간의 눈은 보이는 시야의 범위가 거의 1백80°에 이르지만
신경
을 써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시야는 의외로 좁아 약 50°반경밖에 안된다. 따라서 혼자보다는 되도록 여럿이서 밤하늘을 부분적으로 분담하면 정확한 관측을 할 수 있다.관측시는 유성의 밝기와 속도가 중요하다.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명확한 야구선수를 조사대상으로 삼은 것은 참심한 아이디어로 평가되고 있다.한편 운동
신경
은 왼손잡이가 상대적으로 무딘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 최창국교수(체육학)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왼손잡이는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속도나 전신반응속도에 있어서 오른손잡이보다 느리다고 한다.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어려운 것은 진화가 거대한 시공간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논쟁에서
신경
생물학자가 지적한대로 생명의 기원이나 생물의 진화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학자는 각자 자기 전문분야에서 접근해야지 타분야에 대한 기초도 없이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입게되면 쉽게 낫지 않고 그. 손상이 점점 더 심해지곤 한다. 왜냐하면 당뇨발에는 지각
신경
의 변화 때문에 감각이상이 생겨 아픔을 느끼지 못하거나 덜 느끼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발을 삐거나 데거나 동상이 걸려도 아프지 않으니까 마구 걸어다니고 보호하지 않아 상처는 점점 더 악화되고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