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즐거운 한가위 연휴를 마치고 이제 집에 가는 일만 남았어요. 한가위는 다 좋은데 할아버지가 계신 곳까지 다녀오는 게 너무 힘들어요. 그래도 운전하느라 피곤하실 아버지의 말동무가 됐어요. 그러다보니 교통에 대해 많은 걸 알게 됐죠.명절 교통체증에 관한 모든 것아빠, 명절만 되면 고속도로 ... ...
2014년, 대한민국에서 국제수학자대회를 엽시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들 수 있다는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했어. 하지만 그는 필즈상 뿐만 아니라 미국 클레이
연구소
의 상금 100만 달러도 거절해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지. 그는 한 인터뷰에서 “문제를 해결했으면 됐지 더 바라는 게 없다”고 말했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여는 열쇠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리 들어가 보는 ‘휴대용 감시 정찰로봇’도 거의 완성단계다. 이 로봇은 국방과학
연구소
(ADD)가 개발 중이다. 탱크처럼 ‘캐터필러’로 움직여 계단도 쉽게 오르내리고, 카메라를 통해 적진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국산 정찰, 탐사로봇은 ‘롭해즈’가 유명하다. 2004년 KAIST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알려준다. 조사 결과 블루 워터스의 PUE는 1.2로 나타났다. 2007년 미국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에서 조사한 24개의 컴퓨터 시설의 평균 PUE인 1.8~1.9보다 훨씬 낮다.슈퍼컴퓨팅을 위한 특수 건물을 지으려는 노력은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IT 기업들에서 특히 많다.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모나리자의 미소는 이렇게 탄생했다. 모나리자는 원래 존재하지 않았다?국내에서 얼굴
연구소
를 이끄는 조용진 한남대 교수(미술해부학 박사)는 7월 17일 일본미술해부학회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럽 미술사학자들의 주장과 달리 모나리자의 주인공은 ‘처음부터 없었다’는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968년 세계 최초로 맛과 냄새를 연구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세운 모넬화학감각
연구소
는 미각과 후각과 관련된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를 7~8년 전부터 진행 중이다. 데시몬 교수와 라이얄 교수팀은 특히 짠맛 조절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 팀이 우연히 발견한 ‘짠맛을 내는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구한 과학자들이 항공편으로 8월 17일 귀국했다.이들과 함께 얼음 바다를 누빈 극지
연구소
정경호 수석연구원은 “북극해 환경은 이론으로 알던 것과 많이 달랐다”고 밝혔다.북위 81°의 북극해는 지구온난화를 점검하는 데 중요한 위치다. 북극해의 얼음은 계절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실이 밝혀졌다. 나노과학분야 학술지 ‘ACS 나노’는 7월 중국과학원 상해응용물리
연구소
의 천하이 판 교수의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그래핀은 평면에서 탄소원자가 육각형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벌집구조의 물질이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자가 100배 이상 빨리 흐르고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겨내고 잘 자라며 생산량이 풍부한 카사바 품종을 개량할 예정이다.IDB의 카사바작물
연구소
는 일반 카사바보다 덩이뿌리가 크고 개수가 많아 전분 생산량이 풍부한 ‘ISC카사바’를 개발했다. 수확이 많고 덩이뿌리의 알이 굵은 카사바를 이용해 육종했다. 2006년부터 3년 동안 재배한 결과 일반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속에서도 신경세포가 만들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푸는 ‘기초연구’는 미국 소크
연구소
의 프레드 게이지 박사팀과 미국 프린스턴대의 엘리자베스 굴드 박사팀이 떠맡았다. 1996년 게이지 박사팀은 성체 쥐의 치상회에서 신경생성이 일어남을 확인했다. 치상회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고 있는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