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면정보를 이용한 의식주 혁명 계면
공학
과학동아
l
199603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로 구성돼 있다. 성격이 전혀 다른 이 물질들 사이에는 경계면이 존재한다. 이 경계에서는 무궁 무진한 변화가 일어 ... 의약품 화장품 세제는 물론 에너지 환경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응용력을 가지고 있는 계면
공학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
2. 화장품 아름다움 추구하는 분자들
과학동아
l
199603
이용해 용해도 이상으로 녹임) 현탁(고체미립자가 액체속에 섞이는 것) 등의 계면
공학
적 기술을 응용해 화장품을 만드는 것이다.화장품의 기원은 여러가지다. 인간은 천연 진흙, 식물의 즙 등을 이용해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신분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또 향료는 냄새나는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03
파괴된 환경을 복원하고,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를 개발해야 한다. 계면
공학
은 이 책무를 수행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우리가 프로메테우스의 선물(에너지)을 간직하려면 판도라의 상자의 재액(환경 오염)을 대가로 치뤄야 할 운명이지만, 다행히 상자 속에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03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 계면활성제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현재 계면
공학
을 이용한 제제 개발에 있어서 지질 등의 소재를 이용한 미립자성 운반체에 약물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리포솜이다. 특수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리포솜 표면에 여러가지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1980년 노벨화학상) 등에 의해 1972년 최초의 유전자 이어맞추기가 성공하자 인슐린의 유전
공학
적 제조에 관심을 돌리게 됐다. 그후 무수히 많은 논문이 발표된 가운데 1978년 9월 릴리와 지넨테크의 연구진은 인간인슐린 유전자 합성에 성공한다. 임상실험을 거쳐 인공합성된 인슐린은 1982년 영국과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03
무인탐사로봇의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미진한 분야다. 한국기계연구원 선박해양
공학
연구센터의 홍석원박사는 "이러한 연구를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수요가 적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수요가 적기 때문에 국가와 기업에서 기술개발에 신경을 덜 쓴다는 얘기다. 현재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03
계면현상이 응용되는 곳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이웃사촌 콜로이드와 계면계면
공학
의 정식 명칭은 콜로이드 및 계면과학(Colloid and Interface Science)이다. 1850년 경그레이엄(Thomas Graham)이 아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 시초. 콜로이드는 물질의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나타내는 ... ...
더 이상 뿔 뽑히는 아픔은 없다
과학동아
l
199602
바 있는 슈머츠는 요즘 다른 종의 소에게도 동일한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여기에는 유전
공학
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우리는 단지 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일찍 선택할 뿐이다." 슈머치의 말이다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02
어쩔수 없이 30대를 넘겨 박사학위를 받는 것” 이라고 했다.정박사는 3년 반만에 화학
공학
과를 조기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으로 유학을 갔다. 94년 ‘고분자 유변학’ 으로 학위를 받은 후 지금은 LG화학기술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KAIST 화공과 학생들에게 정박사는 전설적인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02
그럴 경우 현재 논의되고 있는 핵융합이나 원자력과 같은 에너지분야 환경분야 의
공학
분야 공해분야 등은 자연스럽게 응용분야로 흡수될 것이다.셋째로 KAIST는 국가적 차원에서 어떤연구 분야가 취약분야로 보완이 필요한가를 찾아 균형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해야한다. 국가가 균형적으로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