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게워냈다 다시 삼키는 ‘되새김질’을 해요. 이에 반해 우리는 작은 창자와 큰 창자
사이
에 사람에 비해 아주 큰 맹장을 가지고 있어서 되새김질 없이 음식을 한 번에 소화시킨답니다.이렇게 맹장으로 소화하는 방식은 되새김질 소화에 비해 영양소 흡수율이 낮아요. 그래서 같은 양을 먹더라도 말은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그 결과 10년 8개월 동안 태양계 안쪽을 5번 정도 돌며 64억km를 비행해 목성과 화성
사이
에서 혜성을 만나는 로제타의 궤도가 정해졌단다.착륙준비 2 겨울잠을 준비하라!그렇다면 10년 8개월 동안 비행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충분한 연료! 하지만 탐사선에 담을 수 있는 연료의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새가 됐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
사이
언스’에 밝혔다. 연구팀은 목과 가슴
사이
에 있는 V자형 뼈(창사골)와 깃털을 근거로 들었다. 공룡이 추위를 이기기 위해 돋아난 깃털로 날갯짓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공룡과 새의 가장 중요한 공통점은 기낭이다. 공룡은 산소가 적은 중생대 환경에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과립이 계속 발바닥 아래에 공급되는 신발을 만드는 거예요. 바나나 과립을 신발과 바닥
사이
에 계속 넣어 주면 오랫동안 탈 수 있을 거예요.또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친구들의 톡톡 튀는 상상력을 발휘해 보세요. 혹시 알아요? 여러분의 아이디어로 이그노벨상을 탈 수도 있잖아요!엉뚱함도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넣기 전에는 얇은 점퍼지만 낙엽을 넣으면 패딩점퍼처럼 통통해진다. 얇은 낙엽들
사이
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공기층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 결과 마치 오리털 점퍼처럼 따듯하게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낙엽 말고도 잘게 잘라진 종이나 신문지처럼 다양한 재료를 보온재로 쓸 수 있다.스포츠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뼈를 품은 채로 말이에요.또 한 번 시간이 한참 흘렀어요. 한 6000만 년 정도로요. 그
사이
퇴적층은 땅 속에서 누르는 힘을 견디지 못해 위로 불룩 솟아올랐어요. 바람과 물이 위쪽을 계속 깎아내서, 드넓은 호수에 쌓였던 퇴적물 일부는 아예 사라져 버렸죠. 그러느라 또한 1000만 년이 휘리릭 지나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이름과 캐릭터를 갖고 있다. 이 캐릭터를 3D 그래픽이나 홀로그램으로 만들면 멋진
사이
버 가수가 탄생한다. 특히 일본의 ‘하츠네 미쿠’는 2010년, 일본 도쿄돔에서 약 5만 명의 관객을 모은 뒤 매년 각지에서 콘서트를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음역부터 무대에 서는 방법까지, 심사위원들의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몸집이 작은 동물들은 짧은 귀
사이
거리만큼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내야 해요. 그럼 귀
사이
의 거리가 짧은 동물들도 소리와 방향을 알아채기 훨씬 쉬워지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여치는 작은 몸 크기만큼 높은 주파수의 노래를 불러요. 사람은 압력 귀, 여치는 압력차 귀여치와 귀뚜라미는 소리를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생물까지 모두 멸종될 가능성이 높단다.UN(국제연합)생물다양성보고서에서도 최근 30년
사이
에 야생 척추동물의수가 3분의 1 가량이나 줄었다고 나타났어. 국제자연보전연맹은 6만 1914종의 생물을 조사해서 이 중 32%인 1만 9570종이 멸종될 위험에 처했다며 ‘적색목록’을 만들었지. 이 중 3879종은 ... ...
서울 곳곳에 구멍이 뻥뻥! 공포의 싱크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빠져나갈 때도 위험하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김준모 교수는 “토양층과 암석층
사이
를 각각 흐르는 지하수의 양이 똑같이 줄어든다고 했을 때, 흙으로 이루어진 토양층이 훨씬 더 잘 무너진다”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 시내에 있는 큰 싱크홀들은 대부분 두꺼운 토양층 위에 생겼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