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과학로켓
우리
새-2호 하늘을 날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발사팀은 12월 6일 새만금에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발사를 진행한다. 권 교수는 “
우리
새-2호는 사실 1km 고도 제한을 맞추기 위해 다시 제작한 로켓”이라며 “고도 3km까지 비행할 수 있는 로켓을 개발했지만, 공역 사용이 1km로 제한돼 있어 발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아쉬움을 더했다. 앞으로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등 내시경 수술이 필요한 여러 질환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필자는
우리
의술을 크게 발전시킨 허준처럼, 닥터 허준이 앞으로 의료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확신한다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있다. 김 교수는 “생물학 연구와 컴퓨터 데이터 처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우리
연구실의 강점”이라며 “단일 세포 연구에 좋은 성과가 나오면 암 환자별 맞춤 치료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하는 도전적인 중국인들의 자세가 또 하나의 기술 사업화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과감한 투자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이 사업으로 이어지는 성공 사례가 나타난다면 연구 방향도 자연스레 실용화로 향하게 될 것이다. 경쟁과 협력 모두 뛰어나 경쟁도 있지만, 협력 또한 매우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척 부스는 2012년 23일 만에 모든 경기장을 돌았지요. 정말 대단하죠? 미국은
우리
나라와 다르게 땅이 어마어마하게 컸어요. 서쪽 끝에서 동쪽 끝으로 가려면 비행기로만 5시간 넘게 걸리지요. 또 경기를 하지 않는 날도 있고, 경기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으니 동선을 짜기는 더 어렵습니다. 2015년 랍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수필집을 통해 전율로 가득한 수학자의 삶에 관해 설명했다. 아름다운 수학적 발견은
우리
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세상을 향한 시각조차 바꿔준다고 말이다. 빌라니는 보통 감각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세상을 수학이라는 렌즈를 통해서 보기를 권하며 수학자가 세계 최고의 직업이라고 말했다.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편집자 주.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톤’을 표방하는 롤링수(數)톤. 롤링수톤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 ... 옳습니다.” 물론 엄밀하게 말하자면 수학적인 조건이 더 필요하겠지만요. 어찌됐든
우리
모두 아모르파티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업의 기본, 독서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우리
는 문제를 읽고 해석한다. 문제를 해석한다는 것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핵심적인 개념이 무엇인지 파악한다는 뜻이다. 문제의 요구를 이해하면, 그 요구사항을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의료계에서는 남북의 의료 격차가 통일 이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해요.
우리
몸이 서로 다른 종류의 침입자를 겪으며 살고 있기 때문에 면역 체계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는 말이지요. 따라서 1953년 휴전으로 분단된 이후 65년간 교류가 없던 남북 사람들이 갑자기 교류를 시작하면, 바이러스성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개미와 비교해
우리
가 어떻게 번성할 수 있었는지 추적했어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우리
가 특별한 종류의 곰팡이를 재배하기 때문에 번성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가위개미가 키우는 곰팡이는 다른 개미들이 키울 수 없는 종류라고 여겼지요. 하지만 분석 결과, 가위개미가 키우는 곰팡이는 다른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