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
]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이 해묵은 질문의 답이 언제나 알쏭달쏭한 이유는 자연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알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흙 속에 심겨진 씨앗이 무럭무럭 자라나 열매를 맺고 생태계의 순서를 따라 다시 흙으로 돌아오듯, 자연은 순환한다. 그런데 여기 이러한 자연의 성질을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 분야에서 광유전학(optogenetics)이 발달하면서 더욱 정확한
정보
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하면 빛을 이용해 특정한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지도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 ...
내과의사 '니아니 다 보이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었다.“뢴트겐의 X선은 2차원 밖에 알 수 없어서 시시하잖아? 하운스필드의 단층촬영은
정보
를 읽고 계산해서 단면을 그려내지. 여기서 문제~! 여기 단층 사진이 둘 있다. 여러 가지 물건들을 찍었지. 화면에 나온 단층 사진은 어떤 물건을 찍은 걸까?”문제 2여러가지 물건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을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입력된
정보
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대신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며 다른 세포로
정보
를 전달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가장 맞는 답을 찾는다. 잘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기존 인공지능이 엄두도 못냈던, 얼굴이나 패턴 인식에 쓸 수 있다. 초기에는 큰 인공신경망을 만들면 인간의 행동을 모방할 수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갖게 되는 생물체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와편모류는 실제로 사용하는 유전
정보
가 0.0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엄청난 유전적 기능을 언제, 어떤 형태로 발현시키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 발견된 신종 와편모류 파라짐노디니움 시화엔스(Paragymnodinium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본은 1995년에도 다시 한 번 재돌입 시험을 거쳤다. 이런
정보
를 바탕으로 2010년 소행성 이토카와에서 샘플을 채취한 하야부사 탐사선의 무사귀환까지 이끌어 냈다. 초정밀 유도기술과 탄도 재돌입 기술을 확보한 것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핵보유국 지위를 갖고 있는 ... ...
과학특별시로 지금!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소통하는 특별한 공간이에요. 과학특별시에 가입해 과학특별시민이 되면 과학과 수학
정보
를 나누는 것은 물론, 봉사 활동 등 특별한 과학 체험을 할 수 있어요. 지금 과학특별시는 다양한 미션들로 왁자지껄하답니다. 과학 특별시민이 되어 미션을 차근차근 수행하다 보면, 푸짐한 선물도 받고 해외 ... ...
맛과 영양 모두 챙겨먹는 간식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광고를 보면 몸에 좋은 과자도 있다는데 영양성분 표만 봐서는 알 길이 없다. 알레르기에 대한
정보
도 암호처럼 적혀있다. 입이 궁금하면 찾는 과자, 우린 매일 ‘무엇’을 먹고 있는 걸까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부여되는 자격이다. 노 교수는 IEEE의 45개 소사이어티(학회) 중 가장 학구적이라 인정받는
정보
이론 소사이어티에서 석학회원이 된 첫 번째 한국인이다.뛰어난 연구성과 비결을 묻자 그는 84년도에 석사를 마치고 갔던 미국 캘리포니아대 유학시절을 이야기했다. 그 때 지도교수가 “연구를 할 때는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비교해 어떤 종류의 미생물이 얼마나 있는지 조사했다. 최신 게놈서열분석기와 생명
정보
기술이 개발됐기에 가능한 방법으로 불과 수년 전만해도 엄두를 낼 수 없었던 일이다.장내미생물의 게놈 파편만으로 정확히 어떤 종인가까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속(genus)의 수준에서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