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한 손에 움켜쥐고 있다. 권총이라…. 20년 전 헌병 교육대에서 열 발인가 쏘아본 뒤로
처음
잡아 본다. 그때처럼 지금도 예쁘장한, 작고 아름다운 총알이 탄창에 들어있을까―누군가 혹은 무엇인가의 목숨을 노리면서?그리고, 그러나 숲은 아름답다. 온통 초록빛으로 번쩍이고 녹음을 밤의 줄무늬처럼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지요. 하지만 조류의 알은 다양한 색과 얼룩덜룩한 무늬를 자랑한답니다. 왜 그럴까요?
처음
에 알이 만들어질 때는 모두 흰색이에요. 그러다 이 알이 어미 몸속에 있는 ‘난관’이라는 통로를 통과할 때 껍질에 색소가 붙으면서 색이 바뀌지요. 푸른색을 띠는 색소와 갈색을 띠는 색소가 어떻게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물어볼 수 있어 좋다”고 설명했다.“아빠(최상성 회원) 따라 호기심에 이곳에 왔어요.
처음
에는 마냥 신기했어요. 누가 시킨 사람도 없고 시험도 안 보는데 마치 시험 기간인 것처럼 수학을 치열하게 공부해서요. 한두 번 참석하다 보니 여기 계신 어른들을 존경하게 됐어요. 어른이 돼서도 여기모인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운행을 기준으로 만든 태양력을 사용한다. 태양력은 기원전 18세기경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사용했다.이후 유럽에서는 1년의 평균 길이를 365.25일로 하는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다가 1582년 10월 15일부터는 1년의 평균 길이를 365.2425일로 하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고 있다.그런데 실제 태양년의 길이는 36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주장했고, 이를 판단할 수 있는 튜링테스트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인공지능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고, 평생을 인공지능 연구에만 몰두해 인공지능의 또 다른 아버지로 불리는 존 매카시도 수학자입니다. 그는 노벨상을 받은 수학자 존 내시와 함께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수학 박사 과정을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있을 때도 한붓그리기가 가능해요.”“홀수점이 두 개만 있어도 가능하다고요? 그럼
처음
에 말했던 그래프와 뭐가 다르지요?”단이 이해가 안 간다는 듯이 물었다.“홀수점이 두 개인 그래프에서는 홀수점에서 시작해야만 한붓그리기가 가능해요. 그리고 한 홀수점에서 시작하면 항상 다른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진리표다.첫 관문은 ‘코딩’. C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베릴로그는
처음
사용해보는 언어였다. 찬찬히 논문의 코드를 보다 보니 금세 코드의 규칙이 보인다. 입력 값(input)과 출력 값(output)을 선언하고 입력 값이 0 혹은 1일 때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출력 값을 지정해주기만 하면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마침 옆에 정박된 거대 유조선 때문이었을까. 폭 18m, 길이 99.8m의 이사부 호가
처음
에는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하지만 타보니 달랐다. 배 밑바닥 엔진실부터 꼭대기 조타실까지 좁은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데 숨이 턱 막혔다. 다 합치면 10층 아파트 세 동 규모라고 박 기술원은 설명했다.큰 배는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형태의 버섯은 암매장된 시체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여담이지만 시체농장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은 이 버섯 무리를 보면 일단 먹어도 되는 건지 궁금해 한다. 하지만 그 버섯이 어떻게 자라났는지 설명을 듣고 나면 대부분은 버섯을 만지는 것조차 꺼리곤 했다.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메카’가 되면서 각종 제보가 쏟아졌다. 강수경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부정 제보가
처음
올라온 곳도 브릭이었다.“심지어 천안함 사건 때도 과학적인 논쟁이 치열했어요. 보고 있자니 좀 서글프더라고요. 생명과학과는 상관없는 주제잖아요.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얼마나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