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정확히 아는 것 외에 전국을 두루 답사할 수 있는 게 강점이다.전에는 해질녁에 박쥐가
하늘
을 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요즈음에는 그러한 모습을 전혀 볼 수 없다. 박쥐는 전혀 쓸모 없는 동물처럼 보이지만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잡아먹고 씨를 퍼뜨리고 꽃을 수분시켜 주는 등 여러 가지 ... ...
아마추어 과학모임 총정보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다르다. 과학에 대한 소질이 없어도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학활동은 얼마든지 있다. 밤
하늘
에 반짝이는 별을 따고 싶다거나 창공을 훨훨 날고 싶은 것은 인간에게 과학 이전의 본능에 속한다. 이러한 꿈은 천문관측모임이나 모형비행기 동호회에 나가면 손쉽게 실현할 수 있다.이전에 과학취미는 ... ...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먹어치우는 것 같이 보였다. 개기식 때에는 단지 어렴풋하게 밝은 흔적만 남아 밤
하늘
에 달이 있었던 위치를 보여주었다. 도시의 광공해 때문에 월식의 희미한 흔적을 찾기 위해 쌍안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달을 발견하기란 거의 불가능하였다.공기중의 늘어난 먼지는 단지 월식만 변화시키지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빛은 거의 내지 않는 대신 전파를 주로 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이 보고 있는 밤
하늘
은 전체 우주 모습의 일부에 불과하다. 우주의 반쪽을 찾아서1932년 미국 벨연구소의 잔스키(Jansky)에 의해 처음으로 우주에서 방출되는 전파가 관측되었을 때만 해도 그 결과는 천문학자들의 관심거리가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마리나 잡아 먹고, 상모솔새는 6만9천마리, 쇠박새는 11만3천마리를 잡아 먹는다는 것."
하늘
을 나는 한 마리의 새는 곧 자연의 일부이며 이 새가 죽는 것은 자연의 일부가 파괴되는 것을 뜻합니다."그는 이처럼 자연을 위탁대상으로 보지 말고 생명원천의 대상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아마 해양 관련 단원은 자신있게 가르칠 겁니다. 본 것 하고 안본것은 수업시간에
하늘
과 땅 만큼이나 차이가 납니다.전성룡:멀미 때문에 갑판에서 보초를 주로 섰습니다. 가장 큰 성과라면 해양연구소 사람들을 알았다는 것일 겁니다. 일단 해양에 관심을 가지게 됐으니까 앞으로 해양연구소에 자주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 행동은 실제로 독수리를 보지 않았더라도 원숭이의 마음 속에는 경고음 만으로도
하늘
을 날고 있는 포식자를 '지시'하거나 혹은 '이미지를 불러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이렇게 결론내리는 것은 약간 위험하다. 예를 들어 조건반사 실험으로 알려진 파블로프의 개의 경우, ... ...
우주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고개를 들면 밤
하늘
에는 별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먼저 '어떤 종류의 빛'으로 관측할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모여 있다.이 성단은 크기가 거의 보름달만큼 크기때문에, 부분 부분의 밝기는 어두워서
하늘
상태가 깨끗하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대기상태가 적당할 때 시야를 꽉 메우는 희미한 별들의 모습은 압권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대기상태가 아주 좋을 때 8인치 이상의 망원경을 사용하면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란 표현에서 설명이 길어진다. 천문현상은 학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도 관심이 많다. 밤
하늘
의 반짝이는 별은 천문학자들의 독점물이 아니다. 어린 학생들이 청백색의 시리우스를 보고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도 있고, 젊은 처녀 총각이 앉아 견우별과 직녀별에 얽힌 사랑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나이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