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7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20
그래서 대부분의 배들은 범선처럼 커다란 돛을 달고 항해를 했지요. 하지만 돛은
크기
가 클 뿐만 아니라, 돛을 접고 펴는 일 또한 번거로웠어요. 이 때문에 화석 연료가 개발된 후의 배들은 바람보다는 엔진의 힘으로 프로펠러를 돌려 항해를 했지요. 독일의 풍력 에너지 기업인 ‘에너콘’이 ... ...
1000배 정확한 조류인플루엔자 현장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플랫폼을 결합했다. 그 뒤 이를 바탕으로 가로 12cm, 가로 9cm, 높이 5cm로 어른 주먹
크기
보다 작은 검출기 키트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AI 바이러스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다른 바이러스(뉴캐슬바이러스)를 섞은 뒤, 새로 만든 기기가 오류 없이 정확히 AI만 진단하는지 확인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속 깊은 곳까지 분자 단위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뇌 전체를 분자까지 비교할 수 있도록 3차원 이미지로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크기
가 수 나노미터(㎚)에 불과한 분자의 모습을 고속으로 포착하는 기술은 이전에는 없던 것이다. 다양한 현미경 기술이 활용돼 왔지만 각자 단점이 뚜렷했다. 전자 현미경(EM)은 ㎚ 해상도를 갖지만 단백질 종류를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9.01.17
것이다. 연구진은 이 기술로 균일한 배열을 가진 그래핀 양자점을 제작했고,
크기
를 7∼13㎚로 조절할 수 있었다. 또 불순물을 최소화해 전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단전자 트랜지스터(전자 하나만 제어해 신호를 전달하는 집적회로 구성요소)'를 구현하는 것도 성공했다. 신 교수는 "그래핀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반응 부위를 구별해내는 능력이 우수해 차세대 의약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크기
나 표면 전하 문제로 세포 안으로 제한적으로 전달된다. 기존의 방법은 대부분 화학적 소재를 쓰기 때문에 독성이 높고 화학 합성을 하다보니 균일하지 않아 실어나를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다. ... ...
배터리 충전 없이 체온으로 웨어러블 기기 24시간 작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피부에 붙여 체온으로 2~3㎽(밀리와트) 수준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가로 5㎝, 세로 11㎝
크기
의 패치형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패치로 ‘ETRI’라고 쓰인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을 작동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에도 비슷한 기술이 개발된 적이 있지만 연구진은 ... ...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로 항암제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아닌 다른 장기로 전달돼 발생하는 부작용도 없어야 한다. 몸속을 돌아다닐 수 있는
크기
인 나노입자로 만든 암 표적 약물 전달체 연구가 진행 중이나 아직 암에까지 도달하는 도달량은 약물 주입량 대비 0.7%에 불과하다. 나노입자는 몸 안에 주입되면 암까지 도달하는 데 다양한 생체 장애물에 ... ...
40대 전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약 15% 정도가 조기발병위암 환자다. 조기발병위암의 경우 환경보다 유전적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다. 또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기발병위암은 암조직이 위 점막 아래 넓게 퍼져 있어 징후가 없고 내시경으로 진단이 매우 어려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활동에 알맞다. 지난 2017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같은
크기
일 때 침팬지 근육은 사람 근육에 비해 1.35배 더 힘을 낼 수 있다. 침팬지는 상체가 발달해 있고 팔이 길고 근육량도 많아 힘이 사람의 두 배가 넘는다. 덩치가 큰 고릴라 수컷은 대여섯 배에 이른다. 1대 1로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두꺼운 생체 조직 내에서도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
의 변화까지도 정밀하게 볼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small GTPase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형광공명에너지전달(FRET)’이라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는 2가지 형광단백질 간 형광 세기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