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d라이브러리
"
마비
"(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06
한 유전자의 기능을
마비
시키면 그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유전자의 기능을
마비
시키기 위해서는 형질전환에 쓰였던 아그로박테리아가 필요하다. 아그로박테리아는 식물세포 DNA에 특정 위치를 가리지 않고 자신의 DNA 단편을 옮긴다. 때문에 식물세포의 DNA에 무작위적으로 ... ...
손상된 척추신경 재생 성공
과학동아
l
200205
척추부상으로
마비
된 쥐를 다시 움직이게 하는데 성공했으며, 이로 인해 척추신경이
마비
된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이 열리게 됐다.교통사고나 질병, 운동 중 부상 등으로 한번 손상된 척추신경은 신경세포가 자체적으로 재생되지 못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장애가 되기 쉽다. 그러나 이번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05
수 없는 심각한 중독성이 있다. 엑스터시 역시 중독되기 쉽고, 자주 복용할 경우 심장
마비
로 생명을 잃거나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까지 있다.엑스터시와 같은 마약은 정상적인 생활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도 피해를 준다. 그래서 일반 약물과 달리 허가 없이 제조하거나 복용하지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04
85세 이상 노인의 절반 정도에서 나타난다. 이 병의 비극은 기억을 잃게 되고, 언어능력이
마비
되며, 웃을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된다는 점이다. 평생의 아름다운 기억이 모두 깜깜한 심연 속으로 가라앉는 것이다.치매 극복의 열쇠지금까지 밝혀진 치매의 원인 중 한가지는 21번 염색체에 있는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04
수 있다. 한편 유충을 기르는 방법은 대모벌의 습성과 닮았다. 대모벌은 살아있는 거미를
마비
시킨 후 그 안에 알을 낳는다. 마찬가지로 에어리언의 유충은 인간의 몸 안에서 성체로 자라난다. 한 생명의 희생을 통해서만 에어리언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부 사람들은 에어리언이 기생충과 ... ...
생각만으로 컴퓨터 커서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0204
복잡한 기계장치를 움직이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언젠가는 전신
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미지의 화합물 저축해 무한가치 창출
과학동아
l
200204
사회라는 거대한 생명체를 움직이는 혈액과 같다. 어느 순간 돈의 흐름이 막히면 사회가
마비
되듯 화합물의 공급(합성)과 수요(약효시험) 간에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신약연구는 중단될 수밖에 없다. 돈의 흐름을 조절하고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돈의 가치를 증폭시키는 시중은행의 역할을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03
전설에 단골로 등장하는 이야기다. 어째서 원님들은 귀신의 말을 들어보지도 않고 심장
마비
로 쓰러진 것일까. 만약에 죽은 자의 영혼인 귀신이 존재한다면, 그리고 그들이 우리 앞에 나타난다면 우리는 죽은 자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볼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을까. 우리가 죽은 자에게 ... ...
광고냐 쓰레기냐 스팸메일 비상
과학동아
l
200203
특히 무차별적으로 발송되는 스팸메일로 인한 메일폭주로 메일서버가 다운될 경우 업무
마비
등으로 발생하는 추가적인 피해 규모는 훨씬 더 증가한다.처벌하려면 수신자의 적극적인 노력 필요스팸메일이 오염성을 띠게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하지만 우선은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광고하고 ... ...
차가운 과일이 더 달콤한 이유
과학동아
l
200202
뒤쪽에도 일부 분포돼 있는데, 너무 뜨거운 음식이나 차가운 음식을 먹을 경우 이 미뢰가
마비
되기 때문에 어떤 맛인지 전혀 느낄 수 없다.한편 온도의 변화가 급작스러울 경우 단맛을 지닌 음식에서 오히려 시거나 짠맛이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미국 예일대 베리 그린 교수팀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