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02
- 부풀려서 채우면 끝오랜 비행으로 당신도 절절하게 체감했겠지만, 지구와 화성은 아주 멉니다. 가장 멀 때는 약 4억 100만km, 가장 가까울 때도 약 5460만km나 되죠. 오래 걸리는 만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구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1kg의 물건을 보내는 데에도 10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2
- 박형민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기계전공) 교수의 연구주제는 ‘다상 난류 운동’이다. 공대를 다니고 있거나 이분야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아마 주제의 이름만 듣고도 얼마나 어려울지 감이 올 것이다.하나씩 뜯어서 살펴보면, 다상은 기체, 액체, 고체와 같은 하나의 상이 아니라 고체와 기체,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02
- 시멘트 공장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다. 시멘트를 1t 생산할 때 0.9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간 생산되는 시멘트 양은 약 40억t. 여기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36억t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전체 이산화탄소 양의 8%다. 하지만 시멘트 제조 기술은 현재 한계에 이르러 생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세포의 수가 늘어나자 그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기 위해 주름이 만들어진 거예요(아래 사진).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해 봤어요. 하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었지요. 특정 유전자가 사람과 쥐에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거예요.연구에 참여한 루돌프 재니쉬 박사는 “인간의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늑대는 춥고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이 돼도 겨울잠을 자지 않는 동물 중 하나예요. 추위에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온동물이고, 사슴이나 산양 등 겨울에도 깨어 있는 초식동물을 먹기 때문이죠.사냥을 할 때는 보통 한 쌍의 부부늑대가 10~20마리의 늑대 무리를 이끌며 진을 치고, 편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알록달록 무지개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무지개를 좋아해서 머리카락까지 무지개 색으로 염색한 섭섭박사님! 그런데 요즘엔 무지개를 통 못 봐서인지 섭섭박사님은 무척 섭섭해 하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섭섭박사님의 기분을 풀어 줄 수 있을까요?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파란색 수탉이 나타났다?! 수탉의 볏과 부리 밑에 늘어져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면 파란색 귀를 쫑긋 세운 것 같은 닭의장풀을 만날 수 있지요. 이 파란색 꽃 모양이 닭볏과 육수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답니다. ... ...
- [BJ맹추의 먹방 TV] 수학적으로 잘 먹어 보자!수학동아 l201702
-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BJ맹추의 먹방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음식을 먹을 때도 수학을 생각한다는 게스트 다솔 양을 모시고 음식을 먹을 때 필요한 꿀팁을 알려드릴 테니 많은 기대 바랍니다. 방송이 재미있으면 추천버튼 꾸~욱 눌러 주시고요! 자, 그럼 제가 좋아하는 달걀부터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홀로그래피는 필름 대신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정보를 공간광변조기(SLM, 아래 사진)로 재생하는 기술이다. 기록된 간섭패턴이 그대로 재생되는 필름과 달리,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 데이터를 재생할 때 공간광변조기로 빛의 진폭이나 위상을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의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