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06
- 속에 공생 미생물을 갖고 있어서 초록색 잎에 있는 단단한 셀룰로오스 조직을 분해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타닌 같은, 잎 속에 든 독성 물질도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열대 우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다.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6
- 전자 피부청각, 후각,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촉각뿐만 아니라 소리도 인식하는 전자피부를 최근 개발했다. 아직은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06
- 움직이진 않을 것이다. 하기 싫은 일을 꼭 해야 한다면 마음을 다잡는 데에 이미 에너지를 쓰기 때문에 시작하기 전에 지칠 수밖에없다. 실제로 일에 대한 흥미와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단순하고 일반적인 업무에서 재능보다 흥미가 일의 성과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 ...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겸 감독이고 아빠는 이 모든 걸 든든하게 지원해 주시지요. 팀 이름처럼 씩씩하고, 에너지가 활활 넘치는 팀이에요.가장 기억에 남는 건 귀화식물이에요. 처음에는 엉겅퀴, 토끼풀, 서양민들레 등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들이 모두 외래종인 게 믿기지 않았어요.전 멸종위기종 1급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핵심 기술인 삽입장치였어요. 삽입장치는 전자가 약 780m를 이동하며 모은 에너지를 엑스선으로 바꾸는 장치예요. 특히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이곳을 거치며 전자에서 나온 빛이 모두 같은 모양으로 정렬된다고 해요. 그러면 빛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쪼일 수 있어서 물질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 ...
- [과학뉴스] ‘작은 날개, 긴 다리’ 섬 새 유행 예감과학동아 l201605
- 찾는 목적으로 비행을 한다는 것이다. 다리를 지렛대처럼 이용해 뛰어오르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적게 들여 천천히 이륙한다.라이트 박사는 “상위 포식자의 숫자가 적은 섬일수록 이 같은 진화 경향이 두드러졌다”며 “섬에 사는 조류가 다양하게 진화할 가능성이 점점 줄고 있다는 뜻”이라고 ...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05
- AU(1AU=1억4960만km, 지구 중심에서 태양까지 거리)를 간 뒤에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양성자의 에너지가 분산되면서 가속이 멈출 것으로 추정된다. 비그만 박사는 “태양에서 양성자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E-Sail의 와이어를 뻗어 단면적을 늘린다면, 솔라 세일보다 최소 3배 더 먼 거리인 16~20AU까지 갈 수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극성을 띤 물 분자에 쉽게 흡수되는 데 비해, 음파는 매질의 밀도를 변화시키며 전달돼 에너지 감쇄가 덜하다.인간은 배나 어군을 찾으려는 특별한 목적으로 수중음향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이용한 건 100년 전부터다. 1912년 영국의 타이타닉 호가 빙산에 부딪쳐 침몰한 뒤, 캐나다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05
- 배출한 질소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질소발자국을 고려해서 교내 식음료 공급과 전기에너지 소비, 하수처리 방식을 개선하면 2025년까지 최대 18%까지 질소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품별 질소발자국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하고, 표시를 의무화해야 한다. 소비자들의 ... ...
- [과학뉴스] 미국지진학회지(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과학동아 l201605
- 저널지진에는 늘 ‘규모’와 ‘진도’라는 말이 따라다닌다. 규모는 지진에서 발생한 에너지의 크기, 진도는 지진이 영향을 미친 지역의 피해 정도를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척도를 가장 많이 쓴다.두 척도는 모두 1930년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