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08
결국 실험 결과 위 대사경로는 회로를 구성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크렙스의
의문
은 대사경로가 회로라는 가정 하에 풀릴 수 있다. 일단 각각의 유기분자가 각 반응에서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를 정량적으로 알고 있다고 가정하자. 직선경로에서 추가적인 유기분자를 넣었을 때는 추가된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07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옳고 그름을 떠나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는 ‘진화론’에
의문
을 제기한다. 진화론은 끊임없이 발전하는학문이기 때문에 어느 시점까지 알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지적이다. 최 교수는“누구나 진화론을 얘기하지만 상당수가 잘못된 진화론을 얘기하고 있다”고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결과를 과학적 원리를 근거로 논리적으로 분석한다. 제언을 통해 실험 과정에서 생긴
의문
점과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이야기한다. 연구 보고서에는 자신이 인용한 책이나 인터넷 자료의 출처를 참고문헌으로 기록해야 한다. 이 결론은 앞에서 언급한 연구 보고서의 형식을 비교적 잘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07
때문이다. 특히 우리 은하 중심에 진짜 블랙홀이 있는지는 많은 천문학자들이 제기해온
의문
이었다.1970년대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강한 전파원(전파가 관측되는 원천)이 발견돼 이 전파원은 ‘궁수자리 A*’로 명명됐다. 궁수자리 A*는 광학망원경을 들이대도 보이지 않았고 근적외선으로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고친 과정이 모두 저장된다. ‘누가 와서 모두 지워버리고 가면 어떻게 하나’라는
의문
이 생기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은 간단하다. 누군가 위키의 내용을 고의로 훼손하더라도 협업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으면 망가진 문서도 그때그때 수정될 수 있다. 내가 만드는 온라인 백과사전 이러한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07
광시야망원경 LSST가 우리 은하의 지도를 만든다면, 우리 은하의 탄생과 진화에 대한
의문
이 상당수 풀릴 것이다. 또2018년 이후 칠레 안데스산맥에 구경 25m의 대형망원경(KGMT)을 보유하게 될 한국 천문학자들의 활약도 기대해볼 만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 ...
part 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선정할 때 적어둔 메모다. 이 학생은 쿠키를 굽는 동안 생긴
의문
점을 나열하고, 그
의문
이 생긴 배경과 쿠키가 단단해지는 데 영향을 주는 조건을 메모했다. 또 밀가루 반죽의 탄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정리함으로써 결국 물의 양에 따라 쿠키 반죽의 탄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실험 주제와 가설까지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한국해양연구원의 ‘코르디움’이었어. 그런데, 여기가 바다라고…? 안으로 들어가자
의문
이 풀렸어. 물은 없지만 진짜 바다 속을 옮겨놓은 것 같았거든. 깊은 바다에 사는 생물과 심해퇴적물, 쇄빙선 아라온 호와 바다 속 미생물까지! 이제 바다 속을 탐험해 볼까?승빈 : 바다를 연구하는 박사님들이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6
줄어든다. 200~300kg 폭발물이 선체를 두 동강 낼 만큼 충분한 충격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
에 대해 민군 합조단 측은 “북한 어뢰에는 일반 폭약보다 강력한 폭약이 쓰여 실제론 200~300kg 이상의 폭발력을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며 “폭약에 알루미늄을 섞으면 폭발력이 더 커진다”고 설명했다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06
설명했다. 그는 학생 시절 ‘과연 우리 세포 안에 있는 단백질은 무엇일까’라는
의문
을 품었다. 이를 확인하려면 세포 내 단백질 생성 공장인 리보솜의 구조부터 밝혀야 했다. 결국 그는 1970년대 말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하기로 결심했다.모두가 무모하다고 했던 연구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