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5,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과학동아 l201607
-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추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도록 한 컴퓨터 학습법이다.딥텍스트는 페이스북에 탑재돼 게시글을 초당 수천 개씩 분석할 예정이다. 개발팀은 “딥텍스트가 20개 이상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으며, 글과 이미지가 섞인 콘텐츠에서 사람과 장소, 사물을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07
- 고민 중 이었다. 고속 DNA 서열 해독법은 아직 없었고, 유전자 계통도를 분석할 고성능 컴퓨터도 없던 시절이었다.그가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로는 최첨단 기술이었던 ‘제한효소 단편길이 다형성법(RFLP)’이었다. RFLP는 제한효소로 DNA를 잘라 무작위로 나오는 파편으로 개체 혹은 종별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가 연결돼 1초에 30조 개에 달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 있는 슈퍼컴퓨터의 약 5배에 달하는 성능이지요.이런 성능 덕분에 알파고는 16만 개 기보뿐만 아니라 자신이 대국한 결과들도 모두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또 바둑판에 놓인 돌의 위치를 좌표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약 3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도움 및 사진 : 장병탁(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김현기(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 Google Deepmind, IBM, 독일 튀빙겐대학교, 게티이미지뱅크 외참조: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수학동아 l201607
- 위해서는 악당들을 요리조리 피해 깃대가 있는 곳까지 가야합니다.그런데 최근 MIT 전기컴퓨터공학과 에릭 드메인 교수팀이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게임이 ‘계산 복잡도 단계’에서도 어려운 문제인 ‘PSPACE’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증명해, 지난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재미있는 알고리듬에 관한 ...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수학동아 l201607
- 마이크로소프트 면접 문제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글을 쓴 인도 와갈라 기술연구소 컴퓨터학과 프래샨트 바그디아는 친구가 이 문제를 풀지 못해 애를 먹었다고 소개했습니다.얼핏 보기에 문제는 아주 쉬웠습니다. 뭘 이런 걸 문제로 내지 싶을 정도지요. 마이크로소프트가 낸 문제는 ‘직각삼각형의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07
- 수월하게 채점을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자율전공교수 강선일은 무척 기분이 좋았다.컴퓨터공학과의 한진영 교수가 만들어 준 AI는 학생들의 행동 자체를 채점해서 깔끔하게 데이터를 정리해 주었다. 뭐가 어떻게 된 건지 로봇의 무릎관절이 한 번 나가 있었던 적은 있었지만 (한진영 교수에게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07
- 행렬은 계산만 할 뿐 ‘자연스러움’은 전혀 모르거든요. 방정식이 만드는 동작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캐릭터 배우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연기합니다. 대본에 있는 대로 허리 굽혀 인사도 하고 때로는 춤도 춥니다. 컵에서 찰랑대는 우유, 창문을 타고 흐르는 빗물처럼 영화에 필요한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07
-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곳이다. 예를 들어 대용량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에서 처리해 속도를 높이거나, 원본 데이터에 직접 접근해 바로 분석할 수 있는 ‘인 시츄(in-situ)’ 분석 엔진을 개발하는 식이다. 이상환 센터장은 “우리 센터의 목표는 과학자들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도움 및 사진 : 장병탁(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김현기(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 Google Deepmind, IBM, 독일 튀빙겐대학교, 게티이미지뱅크 외참조: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