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대"(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녹는점보다 실제 녹는점이 200∼350도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규모가 7.0∼8.0인 거대지진이 예상보다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임팩트팩터(Impact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오른 화산 학자다(2000~2010년). 2004년에는 10여 년 동안 가설로만 존재하던 백두산 지하의 거대 열구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자오 교수는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이번 핵실험에 의한 지진 규모가 6.3에 이를 만큼 컸기 때문에 백두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 ...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Part 2. 변신 로봇 등장?!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65쪽 그림에서 사람이 입은 내복 같은 옷은 사실 로봇이에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강철로 돼 있어야만 로봇 같지만, 앞으로는 부드 ... 로봇이 온다!Part 2. 변신 로봇 등장?!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핸포드가 관측소 설립지로 선정됐다. ‘ㄴ’자 모양에서 팔 하나의 길이가 4km에 이르는 거대한 간섭계 측정 장치를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1994년 첫 삽을 뜨면서 라이고 제2대 책임자가 선임됐다. 바로 올해 수상자 중 한 명인 배리 배리시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다. 그의 능력은 탁월했다. 199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첫 번째로 소개할 로봇은 마치 종이처럼 접히는 로봇이에요. 로봇의 관절을 종이접기 이론을 활용해 만드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는 점이나 선, ...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Part 2. 변신 로봇 등장?!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마지막으로 소개할 하이라이트는 거대로봇이에요. 아래 왼쪽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이 로봇은 우리나라의 로봇제작 기업인 한국미래기술이 개발한 ‘메소드-2’라는 ...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Part 2. 변신 로봇 등장?!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번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지금껏 태양계에서는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거대 행성만 고리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됐기 때문이다. 2014년 이중 고리를 가진 소행성 ‘커리클로’가 발견되면서 이런 통념이 깨졌고, 이번에는 소행성대 밖에 있는 왜행성에서 고리가 발견되면서 다시 한번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30여 년이 지날 때까지 양자컴퓨터는 미지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딱 35년이 되는 올해, 거대 IT 기업들이 줄줄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용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구글 등의 대기업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발벗고 나서면서 상용화 가능성이 매우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어쨌든 플래시의 질량이 양성자의 질량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긴 하지만, 매우 거대한 가속기가 있고 플래시를 대전시킬 수만 있다면 가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대형 가속기를 획기적으로 작게 만드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보통 양성자와 같이 작은 하전 입자도 고에너지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